KCI등재
폴리튜마 (빌 3:20) 연구를 위한 새로운 제언 – 자기명칭어 연구를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poli,teuma (Phil. 3:20), Revisited: A Study in the Concept of Self-designation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2(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group identity of Jesus-followers in Philippi through the Greek term, poli,teuma.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its the sociolinguistics as the primary methodology to explore the group identity.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Philippians, the sociolinguistics provides two helpful concepts—social dialect and selfdesignations. Early Christians employed various self-designations to solidify their group identity. That was much like social dialect so that it strengthened the sense of solidarity.
For instance, the words—avdelfoi,, a[gioi, te,kna qeou/—in the text of Philippians vividly display their self-consciousness. These terms can be characterized as boundaryconstructing ones. These words clarified their identity, that is to say, ‘who they are.’ Through those terms, the Philippians made themselves ‘set apart ones.’ However, the Philippians belonged to the city as well. In other words, they were members of the city of Philippi in terms of socio-political context. Therefore, they should have been always aware of social context around them. Subsequently, Paul employs another selfdesignation, that is, poli,teuma. The term poli,teuma allow them to look both the internal context and the external context. The poli,teuma was an optimized term to express not only group identity of the Philippi church but also socio-political context. In doing so, Paul admonishes his own audiences not to be absorbed to the secular poli,teuma because they are the set-apart-ones. So they should look heavenly poli,teuma rather than earthly poli,teuma. They should live as the citizens of heavenly poli,teuma.
본 연구는 신약성서에 단 한번 등장하는 poli,teuma를 통해 빌립보 신앙 공동 체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빌립보서 수신자들이 가지고 있던 집단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본 연구는 사회언어학을 택한다. 특히 사회언어학에서 제시되고 있는 사회방언, 그리고 자기명칭어를 통해 poli,teuma를 분석한다.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자신들의 집단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다양한 자기명칭어를 사용하였다. 그 명칭어는 하나의 방언과도 같이 그들의 연대감과 유대감을 굳건히 하였다. 가령 avdelfoi,, a[gioi, te,kna qeou/와 같은 표현들은 자신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어떠한 존재인지를 각인시키는 선명한 표현 들이었다. 이 명칭어는 세상과 구별된 신앙 공동체의 독립된 모습을 강조한다. 이러한 자기 명칭어를 통해 그들 스스로는 그 명칭에 부합한 자가 되기 위하여 노력 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공동체 내부 결속력은 더욱 굳건해졌다. 하지만 그들이 강한 집단 정체성을 토대로 외부와의 경계선을 그으려 한다고 할지라도 결국 그들은 도시 현실 속에 거주하는 존재들이었다. 그들은 신앙으로 모인 공동체 였지만 동시에 그들 모두가 도시 사람들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그러므로 바울은 poli,teuma라는 또 하나의 자기명칭어를 사용한다. 이 단어를 통해 그들의 내부 결속력을 도모함과 동시에 그들이 도시 현실 속에 존재하는 공동 체임을 자각케 한다. poli,teuma는 당시 도시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사회 정치적 맥락을 담고 있는 용어였기에 빌립보 수신자로 하여금 현실을 분명히 인식 하게 하는데 매우 용이했다. 바울은 그들이 처한 도시 사회라는 현실을 염두에 두되, 그 현실의 상황에 함몰되지 말 것을 당부한다. 그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poli,teuma는 하늘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천상의 poli,teuma를 지향하며 현실의 poli,teuma 위에서 구별된 poli,teuma 구성원의 삶을 살 것을 당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10-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11-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통합신학연구원 ->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영문명 : 미등록 -> Center for Studies of Christian Thoughts and Culture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58 | 0.855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