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양회화의 여백의 의미를 근거한 미디어아트의 절제된 시간성을 표현한 작품 연구 = Study on artwork expressing restrained temporality of media art based on the definition of emptiness in Oriental paint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61-471(11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예로부터 동양회화에서는 초월적인 정신세계를 강조하기 위해 여백을 이용하였다. 여백은 표현된 공간보다 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 자체로도 작품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여백은 그려지지 않은 부분이지만 생동감과 생명력이 넘치며 작품에서 말하고자 하는 의미가 드러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미디어아트에서 동양사상인 여백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동양회화에서 표현되어지는 여백의 심리적, 감성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논의할 것이며, 과거 여백이 중점적으로 표현된 시대의 작품부터 현재 여백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는 작품들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포괄적으로 서양회화에서 동양적 여백의 정신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들도 찾아보고자 한다. 다음은 미디어아트에서 동양의 여백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는 절제된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들을 알아보고, 작품 속 여백의 기능과 예술적 표현, 감정 등을 분석할 것이다. 동양회화의 여백의 의미와 시간을 천천히 흘러가도록 조작하거나 일시정지 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작품의 제작방법 및 표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미디어아트에서의 여백의 개념적 성립도 가능하리라 본다. 동양의 여백 운용에서는 다양한 여백의 의미들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감정 즉 심미적 여백을 미디어아트와 연관지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기법인 동양회화의 여백과 미디어아트의 절제된 시간성을 중첩시킬 수 있는 지점들을 발견하고 돌이켜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위에서 살펴보았던 연구를 통해 느리게 흘러가는 시간표현, 정지된 화면이 표현된 미디어아트가 동양회화의 여백의 정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고, 동양회화의 여백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더보기Since long ago, paintings in the East made use of margin in order to emphasize a transcendental spiritual world. Margin contains much more meaning than expressed space, and sometimes can be used as the sole purpose of a work by itself. While margins refer to parts that are not drawn, they are full of vividness and vitality, and shows the significance of the artwork. The study method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margin as an Eastern value in media art. First, it will discuss margin expressed in Eastern painting as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cept, and then analyze painting in the past which emphasize margin, as well as modern paintings which express the spirit of margin. Also, this paper also seek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Western paintings which contain the spirit of Eastern margin. Next, it investigates artworks that contain restrained temporality, which goes hand in hand with the spirit of Eastern margin in media art, and analyzes the functions, artistic expressions, and emotions in the works. It will be possible to make conceptual definition of margin in media ar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duction methods and expressions of media art works which intentionally manipulate margin and slow down time in Eastern paintings, or those which utilize pause technique. While utilization of margins in the East have various meanings, this paper seeks to conduct research by relating emotion, the aesthetic margin, with media art.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and make reflections on points which can overlap margin of Eastern paintings, a traditional technique, and retrained temporality of media art. Through the studies that have mentioned previously, the paper seeks to emphasize that media art, which utilizes temporal expression where time passes slowly, or paused screens, have close associations with the spirit of Margin in Eastern paintings,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margi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