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간도협약 직전(1908)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사건에 관한 연구 = 朵于間島協約之前(1908年) 政府捏造白山境事件的究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9-600(52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1908年淸政府对长白山和鴨綠江ㆍ图们江展开了大规模的活动。当时劉建封接到东三省总督徐世昌的命令,协同張鳳臺、李廷玉等二十多名调查人员率领军队对长白山和鴨綠江ㆍ图们江行了为期三个月的徹底调查。并且给长白山的多处山峰以及其他众多山峰和河流重新命名,对国境问题进行了广泛的调查,完成了《長白山江崗志略》、《長白征存錄》等重要的专门境资料。
1908年开展的这次调查清政府带有很明确的目的性,明显是为解决日本之间的间岛而寻找新的对策。
第一, “穆克登的白头山定界碑是从小白山处迁来的,以处在小白山下方的胞胎山为分水岭,从鸭绿江到图们江沿途另外还有十个十字界碑”,他们虽然提出这一主张,但是却不能出示任何佐证。清政府就这样按照自己的意愿把国境线从长白山移到了胞胎山,颠倒了黑白。
第二, 他们又主张了“从白头山定界碑到图们江沿途的土堆、石堆是‘穆克登’以前 ‘覺羅吳木訥’留下的”,这个说法简直荒唐到令人发笑的地步。只要读过‘覺羅吳木訥’的《封長白山記)》就能轻易识破这个谎言。清政府调查官员泰然地提出这种主张的态度甚至让人可怜。
第三, 重新给車嶺山脈周邊的山峰和河流命名, 歪曲历史,这也是清政府侵犯周边国家领土的典型做法。即,把韩国境内已经有名字的山峰和河流改名,比如胭脂峰→鶴頂峯,三池淵→七星湖, 胞胎山→葡萄山, 劍川→葡萄河, 愛滹江→曖江, 天山→將軍峯. 大角峯→龍山等,并把清国的人口迁往那里。这个问题在1907年第一次开始国境调查时的注意事项中曾经被提及过: “⑥调查國境碑遗址,迅速迁移百姓,增加守备是最重要的事情。” 可见这在顺序上是相互吻合的。
并且给两处地名(天山, 劍山)赋予1000多年前唐朝薛仁貴的傳說, 这也是清政府的别有用心。在满洲地区到处能听到不少关于薛仁貴的傳說,長白縣的渤海靈光塔前、大連大黑山山城等这些薛仁貴根本不可能到达的地方都流传着他勇猛善战地击退高句麗的传说。薛仁貴到 过长白山这一故事是清政府歪曲历史而编造的一出手法低级的历史闹剧。
第四, 在1885年和1887年的國境會談上,捏造紅土山和元池(后来的圓池)是清朝皇帝祖先诞生的发源地这一做法某种程度上是能够让人理解的。清朝建立国家以后,历经300年的统治,直到灭亡的前四年仍然没有找到自己的发祥地。清朝皇帝这种努力寻找自己祖先诞生地的精神是相当可嘉的,但是为了占有别国的山河领土,没有任何根据地说其是自己祖先发祥地,这种连自己祖宗都出卖的行为真是令人玩味。
以上所述1908年清政府设定剧本的核心就是以胞胎山为分水岭, 制造出“西为鴨綠,東为图们”的分界线。西爲鴨綠 ‘南胞胎山的水向西南方向流至三江(胞胎河ㆍ南溪水ㆍ北溪水)→劍川江→ 鸭绿江’,東爲图们 ‘北胞胎山的水向东流至三江(紅丹河, 糾雲水, 半橋水)→大浪河→圖們江’。这样当时作为最大问题的江问题就解决了,原来 ‘鴨綠江-长白山-图们江’ 这一國境线就变为了 ‘鴨綠江-胞胎山-图们江’,把长白山完全划分在韩国领土之外。如果拿着现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9 | 1.72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