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우리나라 건강 연구를 위한 젠더변수모델 개발 및 적용 예비 연구 = A Pilot Study for Development of a Gender Variable Model for Health Research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9-61(1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Background: For gendered innovations to be streamlined in health research, researchers need tools to measure gender variables quantitatively. Because gender is a sociocultural concept which varies by culture, it is important to check feasibility of using tool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before using them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pilot study for adapting a questionnaire measuring gender variables from the literature for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steps: 1) modification of questionnaire by an expert group, and 2) an on-line survey of 3,000 adults, in three age groups, balanced in sex.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7 gender variables with 2 to 6 items, constituting a total of 24 5-point Likert scale items. Gender variable scores were calculated as the average of Z-scores of items pertaining to each variable.
Results: Participants were 45.6% men, 43.9% women, and 10.5% other gender. Scores of five gender variables-caregiver tension, work tension, independ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discrimination-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x and gender groups. Among gender variables, work strain, caregiver strain, and discrimination had notable influences on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mong survey participants.
Conclusions: Several gender variables were related to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This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quantify gender characteristics to be used for health researc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questionnaire and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for use with diagnosed disease outcomes
연구배경: 건강 연구에 젠더혁신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젠더변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젠더는 문화마다 다른 사회 문화적 개념이기 때문에 서구 국가에서 개발된 방법과 도구를 한국에서 사용하기 전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문헌에서 개발된 젠더변수 설문지를 한국인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설문지 보완과 타당성 예비 연구로 이루어졌다.
방법: 본 연구는 (1) 해외문헌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한국인에 적합하게 보완하기 위한 전문가 그룹 협의, (2) 남성과여성 수가 동일한 세 그룹의 연령대의 19세 이상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 조사의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7개의 젠더변수에 각 2-6개 항목, 총 24개의5점 Likert 척도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젠더변수 점수는 각변수에 포함된 항목의 Z-점수의 평균으로 계산되었다.
결과: 대상자들의 젠더그룹 분포는 남자 45.6%, 여자 43.9%, 그 외의 성 10.5%였다. 돌봄제공자 긴장, 일 긴장, 독립성, 정서적 지능 및 차별의 다섯 가지 젠더변수 점수는 성별과젠더 그룹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여성은 다섯 가지성별변수 모두에서 남성보다 높았지만 연령 그룹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젠더변수 중 일 부담, 돌봄제공자 부담및 차별은 건강 상태 및 건강관련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몇 가지 젠더변수가 한국 성인의 건강 상태 및 건강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구 국가에서 건강 연구에 사용된 젠더특성을 정량화하려는 첫 번째 시도이다. 본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와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제질병 진단 결과를 사용한 분석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11-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4 | 0.806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