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 -壬子年 해석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5-233(2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종래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는 함안 즉 안라가 멸망하는 561년을 중심으로 해서 6세기 중엽으로 보았다. 이후 임자년 기년 목간의 출현이 출현하였고, 또 목간 출토층인 동성벽 부엽층에서 공반된 신라 토기가 6세기 말 혹 7세기 초로 편년되었다. 아울러 부엽층의 일괄 목간은 같은 시기에 폐기되었을 것이며, 이들은 산성 축조와 관련하여 길지않은 일정 시기에 제작 활용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임자년을 592년으로 비정하고 부엽층에 일괄 매립된 254점의 목간이 일괄품이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함안 성산산성 목간은 592년을 중심으로 한 시기에 제작 운송 매립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어 그러한 편년을 중심으로, 592년에 앞서 589년 통일제국 수의 등장과 연동된 동아시아의 긴장과 격동에 주목하였다. 591년 경주 남산신성의 축성 사업 등과 연계하여, 수 나라의 중국 통일과 대제국 출현이라는 충격 속에서, 고구려-백제-신라와 왜가 연동하여 대응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서 왕경의 남산 신성 축성과 함께, 지역의 요충인 함안 성산산성의 축성을 해석하였다.
더보기Traditionally, the era of Wooden Tablets in Seongsan Fortress in Haman was regarded as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focusing on 561 years after the fall of r Anra. Later, a Wooden Tablet dating back to the year of 壬子年 appeared, and Silla earthenware, which was supplied from the wooden foundation, was divided into the late 6th century and early 7th century. In addition, the collective Wooden Tablets of the lower layers would have been discarded at the same time. Collective Wooden Tablets may have been produced and used at some time in relation to fortress construction. It was determined t hat 254 Wooden Tablets buried in culinary layer area would have been considered as a collective item, as the year of the owner was 592 years old. Accordingly, it was deemed that the wooden section of the fortress was manufactured and transported around 592 years ago. Then, focusing on the division, the East Asian tension and turbulence linked to the emergence of the unified empire in 589 prior to 592 was noted. In 591, the construction of the Haman fortress was interpreted as a key element of the area,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 ie. Namsan Sinseong fortress or evacuationfor, as part of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Goguryeo, Baekje, Silla, and Wa, Japan in the aftermath of the unification of China and the emergence of the Great Empire Sui隋.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