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천강본풀이>의 시간과 존재 = Time and existence of Woncheongangbonpur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5-90(2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Woncheongangbonpuri is text that has not been fully interpreted. Woncheongangbonpuri is different from their episodyms, which are told by Pak Bongchun and Cho Sulsaeng; it has not yet been resolved how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ak Bongchun and the Cho Sulsaeng.
By introducing examples of Jejudo atrial utilizing the source steel, we will use it as a cl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k Bongchun and Cho Sulsaeng. Both Pak Bongchun and Cho Sulsaeng are talking about the birth of existence. Pak Bongchun’s Woncheongangbonpuri is deal with how the birth of existence is achieved by Onuel's visit to the source steel, and the Cho Sulsaeng’s Woncheongangbonpuri is deal with the birth of a new being Woncheongangbonpuri by accepting his destiny.
In order to identify this in detail, chapter II was addressed the meaning of the source steel. Focused on the worldview settings of the source steel. The source has the meaning of a booklet and appears as a specific space and person in a particular mythical setting. The book is not only present in mythology, but is still used as an appropriate idiom in the context of the Bonpuri.
Chapter III covered Woncheongangbonpuri birth of beings. The time of Onuel is only one continuous thing. When we separate and share this point, we are included in the universe and commit that separates us from the universe. Just as places occupy a point in the universe, Oneul exists in total time. The source lecture asks about the home of time, existence, and what our Woncheongangbonpuri is, and it is a mythical way of meaning.
<원천강본풀이>는 완전히 해석되지 않은 텍스트이다. <원천강본풀이>라고 하여 박봉춘본과 조술생본이 전하는데 이들의 서사가 상이하다. 박봉춘본과 조술생본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텍스트의 종합적 해석에 대한 논저 역시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제주도 심방이 원천강을 활용하는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박봉춘본과 조술생본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로 삼고자 한다. 박봉춘본과 조술생본 모두 존재의 탄생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박봉춘본 <원천강본풀이>에서는 오늘이가 원천강을 다녀옴으로써 존재의 탄생이 어떻게 이루에 대하여 다루고 있고, 조술생본 <원천강본풀이>에서는 원천강이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여 새로운 존재로 탄생하는 것에 대해 다루고 있다. 또한 박봉춘본 <원천강본풀이>는 시간이 무엇인지 묻고 답함으로써 존재의 탄생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다룬다.
이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Ⅱ장에서 원천강의 의미에 대하여 다루었다. 원천강의 어의와 세계관적 설정에 집중하였다. 원천강은 책자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한 신화적 설정 속에서 특정한 공간과 인물로 나타난다. 원천강이라는 책은 신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까지도 사주를 알아맞히고자 하는 본풀이의 맥락에서 구비적 관용구로 쓰이고 있으며, 이를 인용하여 점을 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천강은 본디 『원천강오성삼명지남』으로 세종시대에 간행하고, 음양과와 관상감의 취재 형태로 행해진 것이다. 이러한 영향을 받아 속화되어 무속에 습합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제주도의 <원천강본풀이> 역시 이러한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두 가지의 본풀이 모두 <원천강>의 저서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Ⅲ장에서는 <원천강본풀이>가 담고 있는 존재의 발견과 탄생에 대하여 다루었다. ‘오늘’이라는 시간은 하나인 연속된 선상의 점에 불과하다. 이 점을 구분하고 나누었을 때, 우주 안에 우리가 포함되어 있으면서 우주와 우리를 구분하는 우를 범한다. 우주 속에 장소들이 한 점을 차지하고 있듯이 전체의 시간 속에 ‘오늘’이 존재 한다. 원천강은 시간의 본원, 존재, 우리의 삶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묻고 있으며 <원천강본풀이>는 이러한 의미를 신화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9 | 0.942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