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tosan을 이용한 초지공장의 폐수처리 = Purification of Remanufacturing Paper Industry Waste Water by Chitosan
저자
김정호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석사과정) ; 신영조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유재홍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석사과정)
발행기관
학술지명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6
작성언어
Korean
KDC
530.9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66(10쪽)
제공처
소장기관
파지를 이용하여 판지·골판지 등을 제조하는 공장의 폐수는 대부분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되어 있고 그 양이 대단히 많아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화학적 처리에 의한 현탁입자의 제거가 요구된다.
오징어의 뼈로부터 얻은 Chitosan(β-D-Glucosamine)을 이용하여 초지공장폐수의 응집효과를 실험하였다. 정제·건조된 Chitosan 0.5g을 0.5%의 CH₃COOH수용액에 녹여 응집제로 사용하였다. 응집시험은 Jar Test에 의해 최적 응집조건(온도, pH, 응집제의 양)을 결정했다. 최적조건을 결정하는 데 탁도, SS, 침강시간, COD, 탈수시간, Floc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응집시헙은 22℃∼25℃에서 행하였으며 시험결과 Chitosan은 pH가 6일 때 탁도, SS, 침강시간, 탈수시간, Floc의 크기가 양호했으며, Chitosan의 양이 30ppm일 때 가장 적합했다.
Chitosan과 Acrylamide계 응집제를 pH 6에서 공용했을 때는 응집제의 양이 40ppm에서 적합했다.
천연고분자인 Chitosan은 기존의 Acrylamide계 응집제와 응집비교한 결과 응집효율이 좋았으며, 무독, 무해하여 수질 환경개선에 기대된다.
The wastewater from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produce paperboards by using remnants of paper is discharged in a great quantity, in the dispersal colloidal state, and required chemical treatment to remove suspended solids which can cause water contamination.
Flocculation experiments were done by using chitosan(β-D-Glucosamine) obtained from bones of squids. Refined and dried chitosan of 0.5g was dissolved in 0.5%CH₃COOH and used as a flocculant. Optimum condition of flocculation(temperature, pH, content of flocculant) was determined through jar test. Turbidity, content of SS(suspended solids), settling time. COD, dewatering time, and size of floc were investigated to find optimum condition. Experimental temperature was 22℃∼25℃. As a result turbidity, content of SS, settling time, size of floc, and dewatering time were improved in the process of flocculation when pH=6. It showed optimum dosage when the content of chitosan was 30ppm.
When chitosan and acrylamide were used together as a flocculant. it showed optimun condition when the content of flocculant was 40ppm at pH 6.
Natural polymer, chitosan was more effective than acrylamide in the process of flocculation, because it is nonpoisonous and harmless, it is expected to improve water pollu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