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내구재에서의 지각된 가치 결정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 The Cross-Sectional Dispersion of Housing and Business Cycl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3-162(20쪽)
KCI 피인용횟수
11
제공처
소장기관
Perceived value has emerged as a major strategic issue of a company as one of the factors in determin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general concept of perceived value is defined by evaluating the benefit of a product based on perception of what is “given” or “gotten,” to use Zeithaml(1988)’s word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shown a new emphasis 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erceived value beyond a simple analysis of economic utility. Taking cue from these recent trends, this article first delineates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concepts establish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aking particular interest in value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measurement model that targets the value perceived by the customer and develop measurement variables to carry out empirical analysis. One-dimensional approach taken by former studies have tended to analyze cost in terms of benefits and costs without specifying what had been gained and lost while the multidimensional components of value such as functional, social, emotional value resemble benefits of an acquired product rather than value itself. While discussing such limitations of the existing literatur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redefine the concept of perceived value and reconfigure its components.
A theoretically derived value measurement model is composed of multidimensional variables of benefit and cost. A benefit is comprised of thirteen elements which include the benefit of product such as functional, social, emotional benefit and the benefit of service. A cost is composed of eight items that range from search cost (before purchase), acquisition cost (during purchase) and physical maintenance cost (after purchase). Benefit and cost variables impact the value which, under the research model, leads to customer satisfactio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out a pre-set hypothe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To carry out the empirical study,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purchased an mp3, a durable good, were surveyed 264 among whom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Variable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Cronbach’s ɑ, utilizing SPSS 12.0. Validity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using Lisrel 8.3.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used to determine the causality between elements.
The results have demonstra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el. To consider model fitness, functional and emotional benefits have been shown to have impact on values with the latter having a particularly strong influence. On the cost side, whil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costs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results in general have been shown to be invalid. Search cos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from which it can be deduced that the process of information-gathering and sorting is perceived as enjoyable, arousing an emotional benefit, rather than an absolute cost. Although the model to assess the value measurement of a customer has failed to show a perfect validity, results have pointed toward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or sentimental benefit and the perceived value was shown to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그림]
본 논문은 내구소비재에서의 고객이 느끼는 지각된 가치를 측정하는 측정모형을 만들어 실증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의 지각된 가치는 얻는 혜택(+)과 잃은 비용(-)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지에 관해서 언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혜택과 비용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선행연구를 통해 밝혔다. 혜택의 구성요소는 제품의 기능적 혜택, 사회적 혜택, 감정적 혜택, 서비스의 기능적 혜택이며 비용의 구성요소는 구매 전의 탐색비용 구매 시의 획득비용 구매후의 유지비용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측정모형을 lisrel을 이용하여 모델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제품의 기능적 혜택, 감정적 혜택등의 변수만이 지각된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모형을 통해서 나타난 사실은 내구소비재 특히, mp3와 같은 감성소비재의 기능을 갖춘 제품은 탐색비용과 같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자신의 시간을 들이는 것을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고 오히려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기능적 혜택이 주는 것 외에도 제품에 대해 심리적으로 느끼는 감정적인 혜택이 가치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3-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6 | 1.56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5 | 1.7 | 2.494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