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오픈스페이스와 토지 이용 규제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Open Space and Land Use Regulation on Housing Pri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도시 행정 학보(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31(1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Recent Korean government housing policies, in response to the rapid housing price increase in highly demanded residential areas, aim to suppress speculative demands.
However, the speculative demand is often caused by the limited housing supply in an area with favored local public goods such as high quality public education or open space.
Among the local public goods, the existence of open space affect housing prices through two different channels, housing demand and housing supply. In the demand side, the existence of open space increases the willingness to pay of households for the housing close to open spaces. In the supply side, open space limits the size of available lands for housing construction in and around open space.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open space often justifies government interventions in the form of land use regulations to protect the open space or to prevent massive development of open spa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open space and land use regulation on housing price.
To analyze the impact, we develop the simulation model of housing market in a city with one economic center. We compute average housing price changes with the changes in open spaces size, as well as the impact of land use regulation on housing prices that aims to prevents massive development of areas around open spac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 open space and land use regulation. First, compared with a city without an open space, the average housing price of a city with open space is higher. The average housing price increases as the size of open space increase. In addition, when there exists land use regulation around open space that restricts the housing supply around open space, the average housing price increases. As restricted areas by the regulation increases, or the more restrictive the regulation is, the average housing price also increase more. We also found that housing price due to land use regulation around the open space varies by locations, which implies that the effect of land use regula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fferent type of housing demand by location.
정부는 최근의 급격한 주택가격 상승이 투기 수요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주택에 대한 투기 수요를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투기 수요는 선호되는 재화에 대한 공급이 부족한 경우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요억제 정책은 공급부족에 의한 가격상승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본 연구는 가구의 주택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이같은 요인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원 등 가구의 효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오픈스페이스가 가구의 주택에 대한 수요 및 주택 공급자의 주택 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오픈스페이는 가구에 의해 선호되는 어메니티를 생산하는 동시에 주택으로 개발 가능한 토지의 공급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정부에서는 오픈스페이스 및 주변 지역의 난개발 방지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토이지용규제를 도입하는데, 이러한 규제는 주택공급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서 오픈스페이스가 존재하는 지역은 그렇지 않은 지역에 비해 월세가 높으며, 오픈스페이스 주변 지역에 대한 규제가 존재하는 경우 규제가 적용되는 지역의 월세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아짐을 보였다. 한편, 지역별 주택에 대한 수요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수준의 규제를 도입하는 경우, 규제로 인한 주택가격 상승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택가격 안정 정책 수립 시 주택의 수요 및 공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나아가 현재 존재하는 획일적인 기준의 토지이용 제한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10-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도시행정학보 -> 도시행정학보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1.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3 | 1.292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