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라 上・中代 禮部의 主司・屬司 구조와 운영방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28(44쪽)
제공처
본고는 신라의 主・屬司 구조와 운영방식을 규명하고자, 禮部・禮部 5署의 구조, 운영방식, 예부의 주요 업무를 唐 예부와 비교해 논의하였다.
漢 이래 吏曹 업무의 분화, 客曹의 위상 변화, 祠部의 확대가 진전되고, 隋 이후 ‘郞이 맡은 曹(部)’의 계통화가 진행되며 당의 예부가 성립하였다. 당의 예부는 本司 1개・屬司 3개로 구성되며, 4司의 규모는 비교적 균등하다. 禮部本司는 예의・공거 중 예의를 主務로 맡고, 尙書・侍郞은 3司를 직속하였다.
신라 예부는 규모가 불균등한 5署를 두었다. 신라 예부는 主司이나 屬司를 직속했다고 보기 어렵고, 중요 업무와 행정문서・사안의 결재권을 통해 5署를 운영하였다. 신라 예부는 예의・공거 중 공거를 主務로 맡고, 화랑・국학 등 신라 전 시기의 관인후보군을 장악하였다. 이로 인해 신라 예부는 신라 중앙행정제도에서 최상위 관청인 3部・府의 하나로 운영되었다.
The study aims to clarify structure and operational form of Jusa (主司) and Soksa (屬司) in Silla. Jusa means major government office with the right to indirectly control Soksa which is under direct control of Bonsa (本司). This paper thus attempts to examine structure and operational form of Yebu (禮部) and Yebu’s five Seo (署) in addition to Yebu’s main task by comparing with Yebu in Tang (唐).
Since the Han (漢) dynasty, there had been work specialization of Yijo (吏曹), status change of Gaekjo (客曹)’s status, and extension of Sabu (祠部). In addition, systematization of “Jo(Bu) [曹(部)] managed by Rang (郞)” in Sui (隋) dynasty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Tang’s Yebu.
It consists of one Bonsa and three Soksa whose power were relatively equal. The Bonsa, Yebusa (禮部本司), was in charge of Yeui (禮儀), which is overseeing national rituals and ceremonies, and Gonggeo (貢擧) that is an officeholder recommendation system. Among them Yeui was its main task. Bonsa’s Sangseo (尙書) and Sirang (侍郞) directly controlled other three Sa.
Silla’s Yebu had five Seo which were not equal in size. Although Yebu corresponds with Jusa, it is hard to say that it directly controlled Soksa. However, Yebu operated five Seo through its major tasks as well as the right to approve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affairs. Yebu was a governmental body whose main task was Gonggeo. Fourthermore it managed possible future officials belonging to Hwarang and Gukhak throughout the Silla period. For this reason, Yebu was one of three Bu (部) or Bu (府) with the highest rank in the Silla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