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욕망과 자유 —헤겔의 실천철학을 중심으로— = Begierde und Freiheit —In bezug auf die praktische Philosophie von Hegel—
저자
정미라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5-187(23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Hegel versteht das Selbsterhaltungsbedürfnis als das erste Moment der Freiheit. Während man das Selbsterhaltungsbedürfnis des Menschen im allgemeinen als durch Exklusivität und Egozentriertheit bestimmt betrachtet, liest Hegel dem menschlichen Bedürfnis die ihm immanente Intersubjektivität ab. Nach Hegel befriedigt sich das Bedürfnis des Menschen im wahren Sinne nicht durch den Ausschluß des Anderen, sondern nur durch die Anerkennung dessen. Mit diesem Gedanken überwindet Hegel die in der Moderne dominante Dichotomie von der Natur und der Vernunft, dem Bedürfnis und der Freiheit, wodurch er in den natürlichen Bedürfnissen den Ansatz zur Verwirklichung der Freiheit entdeckt.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das Verhältnis von dem Bedürfnis und der Freiheit bei Hegel zu beleuchten, indem sie den Begriff des Bedürfnisses analysiert, welcher in seiner den Entwicklungsprozeß der Freiheit logisch verfolgenden Geistesphilosophie als wichtiges Moment zur Verwirklichung der Freiheit auftritt. Damit will die Arbeit die Problematik des modernen Gedankens über die Freiheit aufzeigen, in welchem das Bedürfnis der Freiheit gegenüberstellt wird, indem die Natur von der Vernunft abgetrennt wird. Zugleich will die Arbeit die sozialphilosophische Relevanz vom Hegelschen Begriff des Bedürfnisses näher beleuchten.
헤겔은 생(Leben)이라는 보편성으로부터 유추해내는 자기보존욕망을 자유의 최초의 계기로 이해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자기 보존적 욕망이 배타성과 이기성을 통해 규정되는 것과는 달리, 헤겔은 인간의 욕망 속에 내재한 상호 주관적 성격을 간취해낸다. 헤겔에 의하면 욕망은 타자를 배제함으로써가 아닌, 오직 타자의 인정을 통해서만 진정으로 만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헤겔은 근대에 지배적이었던 자연과 이성, 그리고 욕망과 자유에 대한 이분법적 사유를 극복하고, 자연적 욕망 속에서 자유가 실현될 수 있는 단초를 발견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자유의 발전과정을 논리적으로 추적한 헤겔의 정신철학에서 자유의 실현을 위해 중요한 계기로 등장하는 욕망개념을 분석함으로써 헤겔에 있어서 욕망과 자유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자연과 이성을 구분함으로써 욕망을 자유와 대립적인 시각으로 이해한 자유에 관한 근대적 사유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동시에 헤겔의 욕망개념 속에 나타난 실천철학적 의미를 재조명 해보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47 | 1.284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