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도의 문화다양성에 관한 헌법적 수용과 편입 = Acceptance and Incorpor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in the Constitution of Indi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3-304(32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India is a multi-cultural country with diverse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and a federated country as unit of state. The Constitution of India sets secularism and democracy as the basic identity of the state and guarantees the freedom and equality of all individuals and all groups regardless of religion, caste and language. For this reason, the Constitution of India basically consists of provisions having secularist tendencies. Meanwhile, the Constitution of India contains some provisions that indicate cultural differences as well as cultural discrimination due to the wide social an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religion, caste and languages.
A constitutional acceptance or incorporation of cultural diversity are basically derived from the distinction between mainstream and minority groups based on various factors as like religion, caste and language in Indian society. And two streams of Indian nationalism, liberal conservatism and social conservatism, deepened into the distinction between mainstream and minority groups in the issue of national unity. The distinction between mainstream and minority groups by these two aspects was often politically considered the same meaning as the distinction between Hindu and non-Hindu.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enactment, the provisions for protection of certain group as like religious minority, linguistic minority, Schedule Caste(SC), Scheduled Tribe(ST), Other Backward Class(OBC) were adopted or incorporated into the Constitution of India in order to harmonize the two conflicting national goals between ‘national integration’ and ‘protection of cultural diversity’. However, constitutional provisions containing a will of the national integration have been mainly concentrated on mainstream of Hindu. Such provisions are in conflict with the preamble of the Indian Constitution, which has same legal effect such as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ly,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constitutional acceptance or incorpora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this paper analyzes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at show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of cultural diversity though various legal perspectives. Consequently, this paper analyzes the unique feature of the constitution and its legal conflicts in accepting cultural diversity into the Constitution. In addition, it also proposes legal alternatives for the establishment of advanced democracy in India.
인도는 다양한 사회문화 요소를 가진 다원(多元)문화 국가이자 연방 국가이다. 인도 헌법은 세속주의와 민주주의를 국가의 기본정체성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종교, 카스트, 언어와 관계없이 모든 개인과 집단의 자유와 평등을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도 헌법은 기본적으로 세속주의 성향의 규정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교, 카스트, 언어에 따른 폭넓은 사회·문화의 다양성으로 인해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는 조항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차별을 나타내는 조항들도 인도 헌법에는 존재한다.
문화다양성을 수용 혹은 편입한 헌법조항들은 다양한 종교, 카스트, 언어 등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을 바탕으로 한 인도 사회에서의 주류집단과 소수집단의 구별에서 비롯되었다. 국가통합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인도 민족주의자들의 자유보수주의와 사회보수주의의 두 양상은 주류집단과 소수집단의 구별을 심화하였다. 이 두 양상에 의한 주류집단과 소수집단의 구별은 정치적인 면에서 종종 힌두와 비(非)힌두의 구분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기도 하였다.
헌법제정과정에서는 ‘국가통합’과 ‘문화다양성 보호’라는 상충하는 두 국가목표를 조화롭게 실현하기 위해 종교적 소수집단(Religious Minorities), 언어적 소수집단(Linguistic Minorities), 지정카스트(Scheduled Castes)와 지정부족(Scheduled Tribes), 후진계층(Other Backward Classes)과 같은 특정집단의 보호 규정들이 헌법에 수용되거나 편입되었다. 하지만 국가통합의 의지를 담은 헌법 규정들은 주로 주류집단인 힌두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규정들은 헌법의 본문 조항과 동일한 법률효력을 가지는 인도 헌법 전문(前文)의 취지와는 법률적으로 충돌한다.
따라서 먼저 인도 문화다양성이 헌법 규정에 수용 혹은 편입된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문화다양성이 수용 혹은 편입된 헌법 규정을 다양한 법률 시각에서 검토함으로써 문화다양성을 수용 혹은 편입함에 따라 나타나는 인도 헌법의 독특한 특징과 법률 충돌을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인도가 선진 민주주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법률적 대안과 방향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3-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 KCI등재 |
2009-03-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2 | 0.861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