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의 ‘대동아사’ 구상과 역사교육 -<동아 및 세계> 과목과 교과서 『중등역사 1』을 중심으로- = The Idea of ‘The Greater East Asia History’ of Japanese Empire and History Education: Focusing on the History Subject <East Asia and The World> and Textbook Secondary School History 1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5-210(36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East Asia and The World> is a foreign history subject that was based on ‘The Training instruction manual’ announced in Japanese Empire and the Colonial Joseon in 1943 , when the Asian-Pacific War was at its peak. It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s in Japanese Empire and Colonial Joseon, and integrated the contents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which had been previously divided into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The textbook of this course was Secondary School History 1, which was produced as a national textbook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4.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were born on the flow of the “Greater East Asia Education System” designed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o establish an emergency education system for the war of aggression.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ried to producea war ideology through the history and to project ideology into history education. Thus,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Great East Asia,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onducted. This book provided a logic for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The purpose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is to make students who learned <East Asia and The World> fight in a war by teaching students the histor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which is the process of enlargement of the glory of the Emperor of Japan.
<동아 및 세계>는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에 일본과 조선에서 발표된 중학교교수 및 수련지도요목(中學校敎授及修練指導要目)에 의거해 동양사와 서양사로 이원화되어 있던 기존의 외국사 교육이 하나로 통합되며 탄생한 역사과목이다. 이 과목의 교과서가 바로 1944년 문부성 국정 단일 교과서로 제작된 『중등역사 1(中等歷史 一)』이었다.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은 1940년대로 접어들며 일제가 비상전시교육체제 확립을 위해 고안한 ‘대동아교육체제’ 하에서 등장하였다. 일제는 사학계를 통해 전쟁 이데올로기를 생산해내고, 이를 역사교육에 투영하고자 했다. 이에 문부성 주관의 국정 개설서인 『대동아사개설(大東亞史槪說)』의 편찬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개설서는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담은 것이었고,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내용 구성 논리를 제공하였다. 즉,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등장은 천황의 영광이 확대되는 과정인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을 대동아공영권의 확립을 위해 전쟁에 나가는 황국신민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중등역사 1』은 아시아·태평양전쟁 당시 일제가 역사교육을 통해 국민들에게 형성시키려던 대외인식의 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 | 1.11 | 1.919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