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高句麗 廣開土大王 전후 王號의 性格 = 五胡諸國・北魏의 諡號・廟號 및 遊牧國家의 可汗號와의 비교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60(34쪽)
KCI 피인용횟수
9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廣開土大王의 호칭을 분석하고 동시대의 이민족 왕조인 五胡諸國?北魏, 한족왕조, 몽골고원의 유목민 국가 匈奴?柔然과 비교하였다. 먼저 <廣開土大王碑>에 따르면 廣開土大王의 정식 호칭은 ‘國?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이 호칭은 “葬地名+업적+好太王”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三國史記』와 『三國遺事』 등의 史書에는 故國原王을 國岡上王 혹은 國岡王, 文咨王을 明治好王, 安原王을 鵠香岡上王 혹은 岡上王, 陽原王을 陽崗上好王 혹은 陽岡王, 평원왕을 平崗上好王 혹은 平岡王으로 別稱한 부분도 “葬地名+업적+好太王”의 편린으로 추정하였다. 즉 “口?(崗)上+업적+好太王”의 王號가 적어도 故國原王 이후 高句麗王의 호칭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廣開土王의 호칭이 기록에 따라 다르다. <廣開土大王碑>에는 ‘國?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혹은 ‘國?上廣開土境好太王’으로 표기되었지만, <壺?>에는 ‘國?上廣開土地好太王’, <牟頭婁墓誌>에는 ‘國崗上大開土地好太聖王’이라고 표기되었다. 이 세 호칭을 보면 의미는 같지만 <廣開土大王碑>의 ‘廣開土境’이 <壺?>에서는 ‘廣開土地’, <牟頭婁墓誌>에는 ‘大開土地’라고 표기가 약간 다르다. 또 『三國史記』 「高句麗本紀」廣開土 王卽位條에는 廣開土王, 長壽王 卽位條에는 ‘開土王’, 『三國遺事』에는 ‘廣開王’으로 표기가 다르다. 廣開土王의 호칭이 달리 나타나는 이유는 高句麗人들이 왕의 업적인 “영토를 넓혔다”에 해당하는 高句麗語 호칭을 漢字로 옮기는 과정에서 다른 표현을 사용하거나(開土, 大開土地) 다른 漢字를 사용했기(‘境’ 대신 ‘地’) 때문일 것이다. 이는 皇帝의 업적을 한두 개의 漢字로 압축하는 중국의 諡法과 다르다. 필자는 이것이 4세기말부터 6세기 중엽까지 몽골고원에 있었던 柔然의 可汗號와 비슷했다고 생각한다. 柔然의 可汗號는 “丘豆伐可汗”처럼 可汗의 행위나 특징을 “柔然語의 단어+可汗”으로 호칭한 것이다. 현존하는 漢文 사료에서는 柔然의 可汗號는 柔然語 발음을 그대로 표기하였지만(音譯), 高句麗의 王號는 호칭의 뜻에 맞는 漢字를 사용하였다는 점(意譯)이 다르다.
I analyzed the titles of Guanggaeto the Great(廣開土大王) and compared them with Chinese Dynasties, Ohojeguk(五胡諸國 Five Babarian and Sixteen States), Bukwi(beiwei; 北魏), Yuyeon(The Avars).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f Guanggaeto the Great, posthumous name of Guanggaeto the Great is Gukgangsang-guanggaetogyungpyeongan-hotaewang(國?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to say, the name of burial ground, title of achievements, hotaewang(Monarch title). I argued that the form of “口gangwang(口岡上)” such as Yanggangwang(Yangwonwang) was the abbreviated name of “the name of burial ground + title of achievements + hotaewang(Monarch title)” and this form of Kogury? Monarch’s title had been used since Gogukwonwang’s title.
I paid attention to the name of Guanggaeto the Great. The full name of Gukgangsang-guanggaetogyungpyeongan-hotaewang(國?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in the inscription of Guanggaeto the Great had many variation such as Gukgangsangguanggaetogyung-hotaewang(國?上廣開土境好太王) in same inscription, Gukgangsang-guanggaetoji-hotaewang(國?上廣開土地好太王) in the inscription of howu(壺?銘) in Howuchong, Gukgangsang-daegaetoji-hotaesungwang(國崗上大開土地好太聖王) in the inscription of Moduru(牟頭婁墓誌), which were same meanig of “extending Kogury?’s territory widely”, but differently translated into Chinese letters in many records. I argued that such the variations of name should be due to different translation of Kogury? Monarch’s title in Kogury? language into Chenese letters and original Kogury?Monarch’s titles should be created in Kogury? language. This naming was similar to kaghan name of Yuyeon(The Avars).
Kogury?Monarch’s title was said to be accepted from China “King” but Kogury? Monarch’s titles were not Chienese posthumous names of Monarch but minture of Kogury? Monarch’s titles and Chienese institution, which was Selective acceptance of Chinese institu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