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구논문 : 지표체계안 개발을 위한 제언: 출산환경 및 행태지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n Indicator System: Suggestions from the Fertility Behavior and Environment Index Study
저자
김정석 ( Cheong Seok Kim ) ; 황선재 ( Sun Jae Hwang ) ; 송유진 ( Yoo Jean Song ) ; 김혜영 ( Hye Young Kim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9-114(36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출산환경 및 행태지표체계’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지식과 고민을 공유하면서, 크게는 지표개발연구의 방법론적 정리 및 제언을, 작게는 출산지표체계를 둘러싼 경험적 연구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출산환경 및 행태지표체계는 비교적 최근 초저출산 국가로 진입한 2000년대 초반 이후의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저출산 현상을 보다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설명 및 예측할 수 있는 지표체계안을 개발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우선 국내외 관련 문헌, 전문가 초점집단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저출산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관련지표 리스트를 도출하였고, 후보-예비-최종지표 등의 선별과정을 통해 오늘날 한국의 저출산 현상을 보다 다층적이고 다원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통합적인 예측 및 평가 지표를 구성하였다. 그 과정에서 가임기 기혼여성의 관점이라는 대표적인 출산주체의 시점을 삽입함으로써 출산과 같이 복잡다단한 사회현상을 일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현상을 이끄는 주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지표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유용함을 강조하였으며, 개발된 지표체계안에 근거한 시산(試算)을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지표체계를 활용하고 발전시켜 나갈수 있는지에 대한 청사진 역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세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시연된 시산은 지표체계를 활용하여 지수화 할 때 지수구성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른 시나리오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일 수 있음을 예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과학적 절차 및 방식을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관련 지표체계 작성방안에 대한 제언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더보기This study introduces the ‘Fertility Environment and Behavior Index Study (FEBIS)’ to share the gained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indicator system with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lowest-low fertility experience of South Korea since the early 2000s, the FEBIS aims to develop an indicator system that accurately reflects and explicates the multi-dimensionality and complexity of the low-fertility phenomenon in South Korea. First, fertility-related indicator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online surveys were then implement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and decide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before the integrated fertility indicator system (i.e., FEBIS) was finalized through the selective and multiple processes of the ‘candidatepreliminary- final’ indicator lists. In the development of the FEBIS, two factors are noteworthy: First, the study shows the importance and advantages of maintaining a particular viewpoint in the indicator selection and arrangement. Second, in the creation of indexes based on the indicator system, diverse approaches with different ‘scenarios’ could both be useful and more realistic than otherwise. Further practical suggestions and advices of the FEBI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dicator system are proposed in the concluding sec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