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시선추적을 통한 지하복합공간 이용자의 주시영역에 따른 주시비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Attention of vision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Scope Users of the Underground Complex by Eye Track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108(10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지하복합공간은 실외환경과 근본적으로 다른 폐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서 공간 이용자에게 공간인지의 어려움을 가져다준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람들이 공간인지를 하기 위해서 보행 시 나타나는 공간 이용자‘자연시야’시선추적을 통하여 주시하는 영역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하복합공간 이용자의 시선추적을 통해 지하 공간상의 주시영역과 주시비중을 밝힘으로 이용자를 위한 정보전달체계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지하복합공간의 개념과 보행환경, 보행행태 및 시선추적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시선추적 실험설계를 통해 지하복합상업시설의 대표적인 코엑스몰을 선정하였고 실험에 적합한 남녀를 모집하여 현장 시선추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주시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주시영역 분할 기준에 따라 영역별 주시빈도, 주시시간, 주시비중에 대해 시선의 주시영역을 파악하였다. 영역별 주시 결과 특성을 종합하여 연구자의 연구과제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자의 실험 연구과제의 질문에 대해 분할영역 기준에 따라 주시영역을 설정하여, 주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시시간, 주시 빈도, 주시 비중을 통해 집중된 영역에 대한 데이터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보행 시 시선의 위치는 주로 상부를 주시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영역 설정에 의한 주시 분석을 통하여 주시 현상에 따른 시선의 집중 및 주목 영역을 정리하면 주시빈도는 공간집중영역, 주시시간은 공간주목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지하공간 보행시 보행자의 높은 집중 및 주목성을 나타낸 영역은 상부중앙 영역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중앙부 중앙영역, 상부 오른쪽 영역인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복합공간 공간계획 및 디자인 시 공간 이용자를 위한 보행환경에 있어서 시각적 가치를 더 효율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영역에 적재적소에 적합한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유용한 지침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보행 시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며 편리한 보행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하복합공간에서의 주시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지상복합공간과의 차이에 대해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지상과 지하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고자 한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Underground complex space is a space that has closed characteristics that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outdoor environment, which brings difficulties in recognizing space to space users. To determine whether people are spaces, we want to identify areas of attention through the “Natural Watch” eye tracking of space users who appear when wal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designing information delivery systems for users by revealing the observation section and the main attention ratio of the underground space through eye tracking of users of underground complex spaces. (Method) The concepts of underground complex space, environment for walking, behavior of walking, and tracking of the eyes were considered. Through the design of eye tracking experiments, the representative COEX mall of underground commercial facilities was selected, and on-site ey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recruiting men and women suitable for the experiment. Data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were quantified and the phenomenon of the eye was analyzed, and the eye area of the eye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the division of the eye area, eye frequency, eye time, and eye weight of each area. The tasks were verified by combining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s of each region. (Result)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project, the main field was set according to the divisional area criteria, and the data analysis results for the concentrated area were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in data, frequency of the eyes, and weight of the eyes. The position of the gaze when walking was mainly indicated by a tendency to keep an eye on the upper part. (Conclusion) In this study, if the focus and attention areas of the eye are sorted according to the phenomenon of the eye, the frequency of the eye can be interpreted as the space concentration area and the time of the eye can be interpreted as the space main area. Areas that showed high concentration and attention of pedestrians when walking in underground spaces were shown as upper central areas. Next, we could see the central area of the center and the upper right area. In the case of planning and design of the underground complex space, it could be useful guidance material for appropriately designing areas where visual values can be more efficiently incorporated into the walking environment for space users. It is expected to provide a more pleasant, safe, and convenient walking space when walking.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6-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2 | 0.692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