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업의 자유에 관한 헌법적 연구 =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Liberty of Enterpri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7-514(38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freedom of enterprise is perceived as one of the important basic right in economic reality beyond the constitutional level as a factor in giving a vitality to the economic order. Today, as most of the economic activities are achieved around the enterprise, it is also true that there is a need to broadly guarantee the freedom of enterprise and concurrently to properly restrict it at a level of the alleviation of economic power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realiz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Until now, it has been a general opinion to deduce the ground for the freedom of enterprise from the regulations of the basic rights such as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the property right, etc.; however, considering the sole identity of an enterprise and the protection area of the freedom of special enterprise which are distinct from an individual,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ground from Article 119, Clause 1 of the Constitution and to intensify the guarantee effect of basic right through it. Particularly, it is believed that since the freedom of occupation was the basic right taking a note of personal economic activity historically and fundamentally, it is proper to differentiate the base provision in the constitutional system in order for the freedom of enterprise to be established as the basic righ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freedom of occupation.
In addition, the freedom of enterprise is featuring the freedom of market penetration, the freedom of corporate organization, the freedom of corporate management and corporate property right, etc. It is necessary to strictly protect both the freedom of market penetration as the precondition of corporate economic activity and the freedom of corporate management meaning the basic economic activity for pursuing the profit so that it is desirable in the level of economic order formation under the Constitution to find a solution to the conflict between management right and labor right by harmoniously interpreting both basic rights.
Such freedom of enterprise could be also restricted through laws for the purpose of public benefit; however, 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judging the reality of economic problem and selecting a suitable means, it should be deliberately done for an enterprise to bear the leg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merits and demerits by posteriori evaluation of public good performance just like the general economic coordination law. Accordingly, it is urgent to foster the environment that makes it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economic reality on the premise of an enterprise and citizens' democratic participation.
기업은 국가의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원동력으로 인식되는 반면, 오늘날 소득분배의 불평등, 경제력 집중 등 경제문제의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양면성으로 인해 규범적 차원에서 일관된 입장을 취하기는 쉽지 않은데, 헌법학계의 다수 견해는 기본권적 측면에서 기업의 자유를 직업의 자유의 연장선상에서 인식하고 있어 기업을 둘러싼 현실적인 경제문제에 명확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우려된다.
경제주체로서 개인과 구별되는 기업의 개념 및 본질을 고려할 때, 기업의 자유의 헌법적 근거는 이를 명시하고 있는 헌법 제119조 제1항에서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독자적 기본권으로서 기업의 자유를 정립함으로써 새로운 해석론을 전개할 수 있는 지평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의 자유는 시장진입의 자유, 기업조직의 자유, 기업경영의 자유, 기업재산권 등으로 구성되는데, 기업의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특히 시장진입 및 기업경영의 자유가 폭넓게 보호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제영역에서의 공익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업의 자유도 제한될 수 있으며, 그 특수성을 고려할 때 헌법 제119조 제2항이 헌법 제37조 제2항의 공공복리를 보다 구체화한 제한원리로 활용될 수 있고, 직업의 자유에서 논의되는 단계이론도 기업의 자유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기본권 제한의 일반원리인 비례성의 원칙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경제여건이 급격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공익적 목적에 정확히 부합하는 제한수단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사후적 판단을 통해 행정부 또는 입법부에 엄격한 책임을 부담케 하는 것은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10-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법학연구소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영문명 : 미등록 -> Law Research Institute in University of Seoul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8 | 0.9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87 | 1.118 | 0.4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