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율곡의 시문학관(Ⅱ) = A study of the Yulgok's point of view in his literature and poetic world(Ⅱ)
저자
조기영 (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9-97(39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Yulgok's point of view in his literature and poetic world. This thesis considered the poetic definition, description, utility, personality, selection of poems, composition of poem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o(道), insist on the contemporary writings express tangibly the Tao. He uses several terms to explain his views on the relation of Tao and literature. I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ao and writings(道本文末), that is the means and the end for the mutual effect of enlightenment and moral cultivation. He expound importance and what should be of morality through various type.
He cut a conspicuous figures in a fineness selection of poems as presented in Jeongunmyoson(精言妙選), that included his poetic viewpoint and poetic fondness. It is based on the poetic style of a distinctive quality(풍격), that is characterized by a moral sense and effective value and an adequate expression.
The first, He pursue a freedom from avarice and tranquility in poetic world. The second, He long for a quietness and tranquil life in poetic world, that is live in easy retirement. The third, He watch with deep concern a new and fresh style in poetry. The fourth, He give attention to a creative activity carefully arranged and a profound intention of a creative work. The fifth, He prefer to a great emotion and a lofty aspiration in poetic world. The sixth, He point to neatness and wholesome in rules of versification and poetic language. The seventh, He head for exquisiteness and gracefulness in a rhetorical device and a decoration. The last, He pursue an sagacious and intelligent reason in poetic world. He study the philosophy of a propriety in the world.
율곡 이이(1536-1584)의 시문학관 양상을 고찰하였다. 도를 꿰뚫는 그릇(貫道之器), 시를 고르는 기준(精言妙選)이라는 항목에서 시문학의 효용, 풍격, 선시(選詩), 시도(詩道) 등에 대한 율곡 이이의 관점 및 태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도를 꿰뚫는 그릇’에서 율곡은 학문이란 도를 밝히는 것이며, 도가 구현된 것이 글이라고 하였다. 이는 도덕을 구명하고 도덕으로써 심신을 수양하며, 이 세상에 도덕을 실현하는 순리적이고 교화적인 학문론인 것이다. 이에 ‘관도지기(貫道之器)’와 ‘문이형도(文以形道)’를 말하여 ‘도본문말(道本文末)’의 태도를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였고, 인간사회에 있어 도덕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다양한 유형을 통하여 진술하였다. 도본문말(道本文末)의 도덕적 문학론의 입장에서 다양한 현실세상의 군상을 유형별로 그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세상을 위한 진정한 근본인 도를 꿰뚫는 학문, 도에 근본을 두고 세상에 절실한 선무를 다스리는 정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율곡의 지론이었다. 따라서 율곡이 말한 ‘관도지기’나 ‘형도지기’는 요약하면 ‘도본’이자 ‘무분(務本)’에 연유한 시문학관이 되는 것이다.
넷째, ‘시를 고르는 기준(精言妙選)’에서는 율곡은 38세인 1573년에 시선집인 『정언묘선(精言妙選)』을 만들었다. 중국의 시 가운데 가장 뛰어나고 아름다워 시도(詩道)의 모범으로 삼을 만한 작품들을 가려 뽑아 8편으로 만들었다. 충담소산(沖澹蕭散), 한미청적(閒美淸適), 청신쇄락(淸新灑落), 용의정심(用意精深), 정심의원(情深意遠), 격사청건(格詞淸健), 정공묘려(精工妙麗)라는 풍격을 위주로 하여 시작품을 정선하였다. 이에 『정언묘선』에는 율곡의 시적 관점뿐 아니라 시적 취향이 담겨 있으며, 시작품이 지니는 구체적인 특징 및 효용성 등을 고려하여 시를 선별하였다. 박세채는 『정언묘선』의 ‘지’편의 내용이 이아(爾雅)한 것, 곧 아정(雅正)한 풍격의 시작품이라고 밝혀 율곡이 시의 진정성을 고려하여 마지막 ‘지’편을 명도(明道)한 내용의 운어로써 끝을 맺었다고 말한 부분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마지막 ‘지’편의 작품 내용은 ‘명도이아(明道爾雅)’의 풍격을 지니는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이는 도본문말에 근본을 둔 율곡의 문학적 태도나, 시는 문사 가운데 정수이고 시의 근본은 성정이며 시문은 도를 꿰뚫는 그릇이라고 말한 그의 시관과 일치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6-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율곡사상연구 -> 율곡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ULGOK-STUDIES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7 | 1.667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