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탄소중립과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딜레마- 한국 발전 부문에서의 에너지 전환 - = Carbon neutrality and the dilemma of energy paradigm shift related to electricity generation in Korea
저자
한형근 (한국과학영재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3-154(3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Carbon neutrality is required to prevent global warming by climate change. 27% of greenhouse gases are emitted in the process of making electrical energy. 37% of greenhouse gases are emitted during electricity production in Korea. Carbon neutrality is a far-fetched task unless we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electricity generation. The Korean government intends to drastically reduce coal-fired electricity generatio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e nuclear phase-out policy is being pursued in Korea. The shortage of electricity will be filled with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 shift in the energy paradigm could lead to a serious energy gap in Korea.
Energy-based industries such as steel, shipbuilding, automobiles, and chemicals are major industries in Korea. As a leading coun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electric energy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addition, as the mobility paradigm shift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o electric vehicles, the use of electric energy will also continue to increase. As the government claims, it is not easy to increas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hat can replace coal-fired generation and nuclear energy.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renewable energy capacity, natural gas or hydroelectricity generation should be actively promoted. Nuclear phase-out policy should be slowed down, and small nuclear reactors such as SMR should be used as an auxiliary means of nuclear phase-out. Plasma fusion power generation, a future energy source, should also be actively foster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nergy ecosystem such as a smart grid by utilizing ICT. Through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the energy gap on the road to carbon neutrality must be overcome.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탄소중립이 요구되고 있다. 인류가 사용하는 에너지 중 전기에너지가 온실가스의 27%를 배출하고 있으며, 한국은 전력 생산에서 37%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전력 생산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지 않는 한 탄소중립은 요원한 과제다. 한국은 전력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석탄화력 발전을 과감하게 감축하겠다고 한다. 폐기물과 안전성 등의 문제로 탈원전 정책도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그로 인한 전력의 부족분은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채워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에너지 패러다임의 대전환은 한국이 처한 특수성으로 인해 심각한 에너지 수급 문제를 낳을 수 있다. 한국은 철강, 조선, 자동차, 반도체, 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4차 산업혁명의 선도국가로서 전기에너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또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전기에너지 사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정부의 입장과는 다르게 석탄 발전과 원자력 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발전을 증대시키기는 쉽지 않다. 주민수용성을 전제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여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늘이는데 주력하면서도, 보조적 수단으로 천연가스를 활용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에너지 발전 등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탈원전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고, SMR과 같은 소형원자로를 탈원전의 보조 수단으로 고민해야 한다. 미래 에너지원인 플라즈마 핵융합 발전도 적극 육성해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과실인 ICT를 활용하여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새로운 전력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의 협력과 혁신을 통해 탄소중립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갭을 극복해야 한다. 블랙아웃의 기억을 되살려 생활 속에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것도 탄소중립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여정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8-07-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부산발전연구소 -> 지방분권발전연구소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