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인권레짐에서 인권 NGO의 역할과 한계 = The Role and Limitation of Human Rights NGOs in UN Human Rights Regime
저자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The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3-434(22쪽)
제공처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have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scope and dictate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field. NGOs have fostered treaties, promoted the creation of new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lobbied in national capitals to gain consent to strong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rules. But in the absence of international NGO law, NGO definition as such, Article 71 of the UN Charter has served de facto as a charter for NGO. The legal capacity of the NGO under Article 71 might be termed a consultation partner. Although Article 71 establishes consultative opportunities for the NGOs grated status by the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ECOSOC), an individual NGO does not habe a treaty-based rights to be consulted in a particular situation. Article 71 was implemented comprehensively by ECOSOC in 1950 in resolution that was superseded by a new resolution in 1968. In view of practice on consulting NGOs, the ma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do contain consultation of some important NGOs. A review of specialized treaties shows incorporation of NGO consultation processed, but the legal duty lacks typically do not enforce authority. However, since there are certain enforcement mechanisms i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which are only mostly disorganized and decentralized can also think about possibilities for the enforcement international law toward NGOs. Thus, the best possibility would be the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gainst NGOs through a system of self-regulation. Certain development in this direction can already be located in some sectors of transnational corporation activities. An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legal norms through self-regulatory regimes can include the supervision of the actions of NGOs in a certain human rights filed of activities through self-governed umbrella organization. NGOs that are violating international legal standards could face penalties from umbrella organization and exclusion from concerted actions by NGOs. The advantage of such sectoral, self-contained regimes for NGO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would be the diminished role of States in law enforcement. This could lead to enforcement on a more equal basis and would also prevent a possible abuse of enforcement poser toward NGOs by some States. Thus, the examples of already existing self-regulatory regimes for NGOs on the domestic or regional level can also be regarded as a desirable model in the future for enforcement mechanism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on the global scen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