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일 대학법의 개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form of German Higher Education Law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43-470(28쪽)
제공처
197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초까지의 독일 대학법의 기본 틀은 소위 ‘정교수대학(Ordinarienuniversit?t)’에서부터 소위 ‘집단관리대학(Gruppenuniversit?t)’으로의 형태였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1990년대 말부터는 유럽연합이라고 하는 유럽통합의 과정과 대학교육의 효율성 및 국제경쟁력 제고라고 하는 대내외적 요인들로 인하여 대학참사회(Hochschulrat) 내지는 대학재단이사회(Stiftungsrat) 중심의 소위 ‘이(참)사회대학(R?teuniversit?t)’으로의 변화와 대학개혁으로 이어졌다. 1990년 대말부터 현재까지 이러한 독일 대학개혁의 법제적 중심에는 독일 대학기본법(Hochschulrahmengesetz)과 독일 각주의 대학법(Hochschulgesetz)들이 있다. 그리고 이런 주의 대학법 중에서 특히 Niedersachsen주의 대학법이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BR> 최근 10년간 독일대학법 개정의 두드러진 특징은, 첫째, 대학기본법상의 규제철폐와 각 주의 자율적 입법형성권이 확대되어졌다. 둘째, 대학의 법적 지위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기존의 공법상 사단이자 국가 시설물로서의 법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단법인과 같은 특수한 형태로 국립대학들이 전환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유럽통합과 함께 “Bachelor”와 “Master” 학위제 및 대학평가제도 도입과 같은 국제적 기준에 맞는 대학영역에서의 제도적 통일 노력이 대학법에 반영되고 있다. 넷째, 2006년 독일 연방제도 개혁으로 인하여 대학기본법의 폐지가 예견됨으로써 이전보다 주의 대학 영역에서의 기능강화와 대학자율성 확대가 예상된다.
더보기In Germany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 system is determined by the federal structure of the state. Under the Basic Law (Grundgesetz) the exercise of governmental powers and the fulfillment of governmental responsibility is incumbent upon the individual states(L?nder) as far as the Basic Law does not provide for or allow for any other arrangement.<BR> In the German Higher Education Law system, fundamental changes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under which special importance is attached to the various efforts for more autonomy and quality assurance. In the higher education area, extensive reforms have also been introduced in Germany for modernization, globalization and quality assurance in the last few years. It requires consideration about the provisions of the german statutes about the legal status of university and the governance of university.<BR> The German Federal Reform in 2006 transferred frame legislative powers in higher education from the Federation to the States. Is the German university going on Boards-university from Professors-university via Groups-university? For the answer we should watch the evolution of the German higher education law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