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大山學 정립을 위한 小山 李光靖의 역할과 노력 = The Roles and Efforts of Sosan Lee Gwang-jeong for the Establishment of Daesan-hak (大山學)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54(20쪽)
제공처
Sosan Lee Gwang-jeong (1714-1789) is significant in establishing Daesan-hak as he defined the meaning of Daesan Lee Sang-jeong (1711-1782)’s studies through Haengjang.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it. Lee Sang-jeong and Lee Gwang-jeong are brothers who are three years apart, and they read books and studied together from childhood and throughout their lives. After Lee Sang-jeong died, Lee Gwang-jeong took responsibility for conveying his brother’s virtues and studies to next generations. To this end, Lee Gwang-jeong devoted the rest of his life to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Lee Sang-jeong’s literature and writing Haengjang. Due to the death of Lee Gwang-jeong in 1789, however, the publication of Daesanjip was not achieved during his lifetime, and instead, his son, Yi-woo, completed the joint work in the fall of 1802 with 52 volumes and 27 books.
Lee Sang-jeong’s Haengjang written by Lee Gwang-jeong consists of 6,256 letters, and it is a long piece containing very detailed information. The first half deals with Lee Sang-jeong’s life starting with his family and developing with his crucial deeds that are chronicled. The latter half is about Lee Sang-jeong’s studies and discipline, and it is mainly about ① how he practiced his principles, ② how he explored studies, ③ how he treated people, ④ how he lived in everyday life, ⑤ how he read books, ⑥ his political deeds, and ⑦ what he wrote.
Concluding Haengjang, Lee Gwang-jeong said, “He could be even compared to Sir Toegye.” grounded on Lee Sang-jeong’s precise and fruitful studies and devout practices and waited for scholars’ evaluation posing this question, “How would men of virtue who talk about old people think of him?” By writing Haengjang, Lee Gwang-jeong attempted to reveal the fact that the legitimacy of Toegye was handed down to Lee Sang-jeong. After Lee Gwang-jeong identified the status of Lee Sang-jeong’s studies through Haengjang, Daesanhakdan (大山學團) named it as “Hohak” and declared its uniqueness. As “Hohak” is often confused with Noron’s “Horon” or the names of districts, Hoseo or Honam, however, it would be now clearer to name it as “Daesanhak” after Lee Sang-jeong’s pen name.
이 논문은 大山 李象靖(1711-1782)의 학문에 관해 小山 李光靖(1714~1789)이 行狀을 통해 그 의미를 규명하여 大山學이 정립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 일을 고찰한 것이다. 이상정과 이광정은 세 살 차이가 나는 형제로, 어릴 적부터 평생토록 함께 강학하며 절차탁마했다. 이상정이 별세한 뒤, 이광정은 형의 덕행과 학문을 후세에 전하는 일을 자신의 책임으로 삼았다. 이것을 위해 이광정은 이상정의 문집 간행과 행장 찬술에 여생의 힘을 쏟았다. 그런데 대산집의 간행은 1789년에 이광정이 별세하여 생전에 결과를 이루지 못했으며, 대신 그의 아들 李㙖가 1802년 가을에 52권 27책으로 공역을 마쳤다.
이광정이 지은 이상정의 행장은 총 6,256자로, 매우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장편이다. 전반부에는 이상정의 일생을 家系로부터 시작해서 연대순으로 중요한 행적을 기술했다. 후반부에는 이상정의 학문과 수양에 관해 서술했는데, ①도를 행한 것[爲道], ②학문을 탐구한 것[爲學], ③사람을 대한 것[及於人], ④일상생활에 드러난 것[見於日用], ⑤책을 읽은 것[讀書], ⑥政事에 시행한 것[施於事], ⑦저술한 것[論著] 등을 골자로 삼았다.
이광정은 행장의 서술을 끝맺으며, 이상정이 이룩한 정밀하고 깊은 학문과 독실한 실천에 근거한다면, “퇴계 선생의 적전이라고도 해도 가할 것이다.”라고 제기한 후, “옛사람을 논하는 군자들은 어떻게 생각할는지?”라고 학자들의 평가를 기다렸다. 이광정은 행장의 서술을 통해 퇴계의 적통이 이상정에게 이어진 사실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광정이 행장을 통해 이상정의 학문이 가지는 위상을 규명한 후, 大山學團의 학자들은 ‘湖學’으로 명명하여 독자성을 천명했다. 그런데 ‘호학’은 노론의 ‘湖論’, 지역명의 湖西ㆍ湖南 등과 혼동되기 쉬우므로, 오늘날에는 이상정의 호를 따서 ‘大山學’이라고 명명하는 편이 분명할 것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