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통일 이후 독일 이민정책의 변화 = German Immigration Policy after the Reunifi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160(36쪽)
KCI 피인용횟수
13
제공처
독일 현대사에 있어 외국인 이민정책은 그 내용과 성격에 있어 분단 시기와 1990년 재통일 이후의 시기로 명백히 구분된다. 무엇보다도 1945년의 패전과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서독)과 독일민주공화국(동독)으로의 분단은 외국인 이민정책에서 상이한 역사적 전개과정을 걷도록 만들었다. 분단시기 독일의 이민정책에서 동독의 그것은 폐쇄적인 체제로 인해 그 내용과 규모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반면 1950년대 중반 이후 ‘경제기적’을 이룬 서독의 외국인정책은 ‘손님노동자’의 대량유입으로 그 내용과 규모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며, 독일의 이민정책에 대한 연구에서 그 중심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서독의 이민정책에 대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손님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단기 외국인 노동력의 유입을 근간으로 하는 1973년 ‘모집중지’까지의 기간과 이후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나 그 내용에서 서독의 이민정책은 전반기에 해당되는 적극적인 단기 외국인 노동력 유입정책 시행 기간이나 이후의 외국인 이민 귀환정책 시행기간이건 서독의 이민정책의 본질이 ‘비(非)이민국가의 유지와 고수’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서독의 비이민주의적인 외국인 정책은 1990년 통일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무엇보다도 동독을 흡수통일하면서 모든 법적?제도적 장치가 기존의 서독의 것으로 대체되었다는 사실에서 통일 후 독일의 외국인 이민정책의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독일의 통일을 전후해 동유럽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가 야기한 분열과 내전 등과 같은 국제적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난민과 동유럽 출신의 독일계 이주민의 대량 유입에서도 독일은 전통적인 혈통주의적 국적법의 원칙에 따라 배타적인 외국인 이민정책을 고수했다. 더욱이 통일 이전 서독에 거주하던 터키계를 중심으로 외국인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가 통일을 기점으로 800만 명을 넘어서는 상황에서도 독일의 이민정책은 여전히 1980년대 서독 정부가 수립한 ‘비이민국가’의 정책 노선을 그대로 유지했다. 1999년의 새로운 국적법의 제정이나 2005년의 이민법의 제정은 기존의 이민정책의 대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평가되기 보다는 독일의 이민정책이 외국인의 사회통합을 ‘관리하고 규제하는’ 방향으로 강화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history of german immigration policy after 1945 is the story of two separated Republics’; one of its (East Germany) as ‘not’ important and the other (West Germany) as ‘very’ important. From 1950 to 1990, about 80% of the increase in the West German population resulted from immigration especially with the guest worker policy between 1955 and 1973. The labor recruitment stop in 1973 had a boomerang effect on German immigration policy. Shortly, the West Germany was a ‘non immigration land’. The West German policy towards foreigners until the reunification can be explained as a largely limited labor market policy. After 1990, reunited Germany has became more ethnically diverse and more multicultural, with a growing minority of immigrants, temporary migrants and asylum seekers living in its territory. There are ethnic Germans from Eastern Europe and labor migrants from Southern and Eastern Europe with restricted work permits as well as various groups of asylum seekers and refugees. The accommodation of over two million ethnic Germans (Aussiedler) during the late 80’s and the early 90’s was especially hard for the united Germany that was already overburdened by the high costs of u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of Germany was rapidly changed. The jus sanguinis component of German citizenship policy became even more tenuous and indefensible as it became clear that Germany had become the permanent home of ever more foreign residents. But in the real the problems of immigration, integration, and minority issues and their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treatment have been mentioned only peripherally in new German society. The German Nationality Law of 2000 and the Immigration Law of 2005 represented a liberalization of the jus sanguinis component of German citizenship policy since 1913 law, yet the new law did not go nearly enough towards the ‘a migration-land’ direction. The German immigration politics is hemmed still in on all sid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