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경제 윤리 교육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 기본 고려점을 중심으로 An Introductory Discours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of Economic Ethic Education in Secondary Social Studies Education
저자
김경모 (경상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374.3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42(26쪽)
제공처
본 연구는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을 통한 경제 교육에서 경제 윤리 교육의 강화 필요성에 대한 세 가지의 계기와 그 속에 담긴 문제의식을 근거로, 체계적인 경제윤리 교육모형의 설정에 있어 기본 고려점을 도출하고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제까지 있어 온 학교 경제 교육 활동을 경제학의 구조와 소극적 경제사회화 및 적극적 경제 사회화 등의 개념으로 구조화하고, 학교 경제 교육에서의 경제 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학교 경제 교육에 있어 경제 윤리 교육은 보완적이거나 부수적인 영역이 아니라 오히려 핵심적이고 주도적인 영역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어 3 장에서는 경제 윤리란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되었거나 논의되고 있는 것들을 사회과를 통한 경제 윤리 교육의 적용에 염두에 두고, 이를 목표와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등과 대응되게끔 재구성하여 분석, 정리하였다. 이어 4장에서는 3장에서 논의된 결과를 기초로 학교 경제 윤리 교육모형을 정립함에 있어 새롭게 고려하여할 기본적인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제 활동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언급되어야 한다. 경제 활동은 그것 자체로서 사실적인 이해의 대상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것의 본래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경제 활동의 도구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성격보다는 상호의존성, 즉 협동적이면서 경쟁적인 성격이 부각되어야 한다. (경제윤리 교육의 목표 혹은 지향가치)
(2) 사회적 인간활동의 구체적인 양식은 직업이나 그 활동의 사회적 기능에서 자연스럽고 구체적으로 드러나므로 이를 내용조직의 준거로 삼을 만하고, 구체적인 제시 형식으로는 문제중심의 형식이 권장될 필요가 있다. (내용조직의 준거)
(3) 이와 함께 인간의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경제활동의 목적 또는 그것에 내재된 가치는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탐색되고 추구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통시적 관점에서는 경제활동의 역사와 이를 개념화한 이론의 변천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내용영역 1)
(4) 경제활동의 내재적 가치는 제도와 조직 등을 통해 드러날 수 있는 것이므로 경제활동의 상규(常規)나 경제법에 대한 이해도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사회적 규범의 근거로서 관련되는 윤리적 사조 내지는 견해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내용영역 2)
(5) 경제활동에 내재한 가치를 알 게 하는 것은 단순한 명제적 지식의 전수만을 통해서는 한계가 있으므로 교사의 시범, 간접전달, 대화법, 탐구학습, 이야기 들려주기 등의 교육방법을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교수학습 방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points to ponder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of economic ethic education in secondary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literature and research on the social needs on economic ethics in and ou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s are derived as general points to ponder in constructing the economic ethic education in second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first point to consider is that there is urgent need of reorganizing the current economic education centering on economic ethic education. Considering changes in social needs and changes in the rationale of social studies in secondary school, secondary social studies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set a goal for counter-socialization. This proposition is not new at all, but just to recover the inherent nature of social studies. For this secondary economic education should give stress on the economic ethic education, not on the cognitive part of economic education.
The second point to ponder is to vitalize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in economic ethic education. For this we should not simply apply the general moral principle to economic problem but internalize the core value inherent in economic activities. In this regard the concept of a practice (social human activity)by MacIntyre have good reason to be stressed on.
And realizing general consideration as above I suggested four concrete strategies as follows.
① The inherent nature of value-laiden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more clearly in textbook and class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economic activities is not just a means to satisfy the needs but have a unique value as collaboration and interdependence to realize the human dignity.
② Considering the nature of inherent value of economic activities, student can have opportunity to learn the history of economic life and theory of economic theory.
③ The inherent value of economic activities is just operant within economic institution and organization, so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should have understanding of social norm and economic law as minimum limits to economic activities.
④ Understanding of the ethics or values inherent economic activities is not possible just through learning of propositional knowledge on economic ethic. Thus the instructional methods such as narrative method, socratic inquiry method, modeling and indirect transmission are recommended in economic ethic classroom activiti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