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의용대’ 관련 항일서사에 대한 문화적 고찰 – 『전선에서의 조선의용대』를 중심으로 – = Anti-Japanese Narratives Themed in the Korean Army of Volunteer – Focused on The Korean Army of Volunteer on Battlefield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31(31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As an armed forces made up by Koreans, the Korean Army of Volunteer was founded in Wuhan in 1938 to fight for independence of Korea and victory of anti-Japanese war in China. The army performed tasks led by military commission of KMT. During the Anti-Japanese War, the army got a high praise both from KMT and CPC because of its military exploits. In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of China and Korea, there is a highlight of anti-Japanese narratives of China and Korea with themes of the Korean Army of Volunteer. Therefore, a further study on that will supply a gap for history of Sino-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communica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Korean Army of Volunteer on Battlefield (1939), a voluminous documentary work famous for its duality in narrative theme, made by members of the army with Korean words, and then compiled by Liu Jinyong, a Chinese member of the army. The work reflects revolutionary heroism and devotion of the army in fields of propagandizing to enemy, Sino-Korean cooperative combat and the mass education. Propagandizing to enemy with the core of anti-Japanese discourse on the battlefield made an important significance for disintegrating enemy morale and arousing anti-war consciousness. Meanwhile, the Sino-Korean cooperative combat with the core of heroic discourse reflects the heroic and devoting spirit. Because of historical and realistic reasons, the army got its features of multiplicity in subject, status identity and culture. Only by this can the army brought up countless contemporary myths on the battlefield of anti-Japanese. The knowledge discourse in the work presents a historical change from antagonism to domination, so undoubtedly, it is the Oriental spiritual heritage in 20th century to overturn imperialist aggression and cultural hegemony.
더보기‘조선의용대’는 한민족의 독립과 중국 항일전쟁의 승리를 위하여 1938년 10월 중국 무한(武漢)에서 창설된 항일무장으로 장개석, 주덕 등 중국 정계요인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었다. ‘조선의용대’ 관련 항일서사는 의용대 대원들과 중국의 작가, 문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창작되었다.
『전선에서의 조선의용대』(1939)는 의용대 대원들이 한국어로 창작하고 의용대 내부의 중국인대원인 유금용에 의해 번역된 실기문학작품이다. 작품은 방대한 서사화폭으로 항일투쟁 최전선에서 활약한 조선의용대의 대적무장선전, 협동작전, 민중교육 등 활동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대적무장선전은 항일담론을 주요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일본군의 전투력 와해와 그들을 상대로 한 반전의식의 교육에 크게 기여했다. 한중협동작전에 대한 서사는 영웅담론을 기본으로 작전 중에서 보여준 중국 ‘국민군’과 ‘조선의용대’의 영웅적 기개와 헌신을 그려내고 있다. 『전선에서의 조선의용대』 중의 영웅담론은 진보적 민족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조선의용대’ 주체의 이중성에 따른 정체성의 특질에 대해서도 잘 보여주고 있다. 민족담론을 핵심으로 하는 민족정체성은 ‘조선의용대’의 주도적인 정체성을 이루고 있다. 동시에 그들의 중국인식에는 군인정체성도 내비치기고 있다. ‘조선의용대’의 이중 주체로서의 신분에 따른 정체성의 특성과 문화의 혼종성은 중국의 항일전쟁에서 수많은 ‘정착신화’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전선에서의 조선의용대』에서 보여주는 조선의용대의 지식/권력담론은 “대항담론에서 지배담론으로”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으며 제국주의 침략과 문화패권(hegemony)을 전복한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의 정신적 유산이 되기에 손색이 없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