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낼리티 구성이 팀 프로세스 및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s of Personality Configuration on Team Processes and Effectivenes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5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6(16쪽)
제공처
본고에서는 팀 프로세스 및 유효성에 팀 구성원의 퍼스낼리티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집합적 특성과 구성원간 차이로 살펴보았다. 독립변수로는 팀 구성원들의 Big5 퍼스낼리티 특성, 즉 성실성, 동조정, 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등에서의 집합적 수준과 팀 구성원간 차이인 다양성 정도로 설정하였다. 팀 프로세스 변수로는 지각된 다양성, 노력, 협동, 응집성, 과업갈등, 관계갈등의 6가지를, 팀 유효성 변수로는 팀만족, 학습과 성장, 지각된 팀성과의 3가지를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팀 퍼스낼리티의 수준 및 다양성과 총 9개 변수들간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가설로는 Big5 퍼스낼리티 특성 모두에서 높은 집합적 수준의 팀이 낮은 수준의 팀에 비해 팀 프로세스 활성화와 효과성이 더 높을 것으로 보았다. 팀 구성원간의 차이로서 다양성 정도는 다섯가지 특성 모두에서 팀 프로세스 활성화와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 소재 대학의 경영학관련 수업을 수강하면서 한 학기 동안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 8개 반의 112개 팀, 436명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에서 연구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으며, 퍼스낼리티의 각 요인이 팀 프로세스 및 유효성에 서로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팀 구성원들의 퍼스낼리티는 기대보다 팀 프로세스와 유효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실제 작업팀에서 팀 프로세스와 효과성을 예측할 수 있는 팀 구성의 특성을 찾는 연구에 퍼스낼리티의 구성이 어떠한 결과를 낳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eam members' personalities on team processes and effectivenes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eam members have not been studied much yet at the collective level. Particularly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configuration types as well as the aggregation levels of the Big 5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eam members. Selected team process variables are perceived diversity, efforts, cooperative behavior, cohesiveness, relational and task conflicts. Adopted team effectiveness variables are team performance, learning, and satisfaction. H1: Conscientious, agreeableness, emotional stability, extro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s the big5 personality level and team processes enable higher team performance will be higher. H2: Conscientious, agreeableness, emotional stability, extro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s the big5 personality diversity and team processes enable higher team performance will be low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3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usiness school class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summing up to 112 teams from 8 classes.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some significant, albeit not strong enough, effects of the personality configuration on team processes and effectiveness. Relatively team members' extroversion level exerted mor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an other personality variables.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ed ar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