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永明延壽의 無心論과 후대 영향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41(3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이 글의 목적은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종경록』에 나오는 무심(無心)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이 연수 후대 고려의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과 현대 한국의 퇴옹성철(退翁性徹, 1912-1993)에게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무심은 『종경록』 제45권에 집중해서 나온다. 무심은 천태지의와 청량징관이 세운 ‘정혜(定慧)의 안심(安心) 법문’과 대비되는 ‘선종의 무심(無心) 법문’으로 제시된다. 연수에 따르면, 정혜의 안심법문은 불안한 마음을 대치하기 위한 방편적 가르침인 반면, 선종의 무심법문은 대치할 대상과 주체인 마음이 모두 텅 비어 존재하지 않음을 드러내는 가르침이므로, 불안한 마음 그 자체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를 무심합도(無心合道)라고 한다. 무심은 망념분별이 사라짐과 동시에 그에 대한 분명한 자각이 현전한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종경록』의 종지인 일심·진심과 상통한다. 연수의 무심론은 동아시아 불교계에 있어 고려의 보조지눌에게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보조는 그가 세운 3문 중 경절문의 내용을 연수의 무심론에 입각하여 무심합도문(無心合道門)으로 건립하였는데, 이 문의 구조와 내용은 모두 연수 『종경록』 제45권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다만 지눌은 연수 시대에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던 간화선을 무심합도문과 대응시키고 있다. 보조 이후 한국불교계에서 연수의 문헌을 가장 널리 활용한 이는 퇴옹성철이다. 『종경록』에서는, 견성하면 곧장 무심하게 됨을 강조했는데, 퇴옹 역시 이러한 견성과 무심의 관계에 주목하였고, 더 나아가 그에 따른 수증론으로 돈오돈수를 제창하였다. 연수의 돈점론은 근기에 입각하여 돈오돈수를 위주로 삼아 돈오점수를 함께 제시하는 것인데, 보조가 연수의 돈오점수의 견해를 수용한 것에 비해 퇴옹은 연수의 돈오돈수의 관점을 취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The Chan master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 975), who lived in the period of five dynasties China, understood all the dharma through One mind(一心). One mind was used as the same meaning with True mind(眞心). However, his main work, the Zongjinglu, explained the opposite term ‘Nomind( 無心)’ as playing a major role besides One mind. ‘No-mind(無心)’ wa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fascicle forty five among one hundred books of the Zongjinglu and suggested as ‘the dharma door of No-mind(無心法門) in the Chan school(禪宗)’ against ‘the dharma door of pacifying the mind(安心法 門) by meditation and wisdom(定慧)’. He exemplified Tientai Zhiyi(天台智顗)’s Cessation and Observation(止觀) and Qingliang Chengguan(淸涼澄觀)’s Meditation and Wisdom(定慧) for the dharma door of pacifying the mind(安 心法門). And also he regarded those theories as the expedient teaching to treat mind suffering. On the other hand, the dharma door of No-mind in Chan school was the teaching that ‘mind and the subject are vacant and do not exist’, so it did not accept anxious mind. Therefore, Yongming Yanshou insisted that we can be naturally placed on the Way(道) in the state of Nomind. This No-mind theory emphasizes that all deluded thoughts and discriminations disappear and simultaneously it lets us know what it is through the obvious recognition, so it shows the same context of One mind(一心) and True mind(眞心). Bojo Jinul(普照知訥, 1158- 1210) of Gory Korea positively accepted such a theory of No-mind by Yongming Yanshou. The theory of cultivation by the reverend Bojo may be suggested as Three doors. He set up the theory of Mushimhapdomun(無心合道門,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 for Gyongjolmun(徑截門, the path of direct cutting) among Three doors. First of all, the structure emphasizing the dharma door of No-mind of the Chan school which went beyond the limit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 was to employ the structure of ‘from Meditation and Wisdom(定慧) to No-mind(無 心)’ suggested in the Zongjinglu. Also in its content, we can find out that he tried to establish his own theoretical system as positively quoting the phrases related to No-mind in the fascicle forty five in the Zongjinglu. However, Jinul compared Ganhwa Son(看話禪)that did not appear in the time of Yongming Yanshou with Mushimhapdomun(無心合道門,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 This is the discrepancy between two theories. Meanwhile, the figure who widely used Yongming Yanshou’s literatures after the reverend Bojo in the Korean Buddhism was Toi’ong Songchol(退翁 性徹, 1912-1993). He quoted in detail the phrase especially about Gyonsong(見性, attaining Buddhahood) from the Zongjinglu. In the Zongjinglu, it stressed that ‘if attaining Buddhahood, then we can be No-mind’. He also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yonsong(見性) and Mushim(無心) and then suggested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as the theory of cultivation. Yongming Yanshou’s Sudden and Gradual theory(頓漸論) was to sugges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together as mainly focusing on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according to one’s ability(根機). The reverend Bojo accept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but the reverend Toi’ong followed the view of Yanshou’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4-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 KCI등재 |
2016-0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142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