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서사 구조와 죽음의 의미 = Narrative Structure and Meaning of Death in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저자
오세정 (충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7-145(2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paper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hamanistic myth of Hamgyeong-do province,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and, based on this, tries to examine the meaning of death that this myth mainly embodies. In the analysis of narrative structure, using Greimas' narrative schema at the level of semiotic narratives, the myth text was segmented and the course of the narrative subject at each narrative stage was examined at the syntactic level.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deat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compared to <Princess Bari> and <Igong-bonpuri>, the myths related to death, which have similar syntactic structur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first and final stages, the narrative of <Dorang-seonbi and Cheonjeong-gaksi> is reversed from the situation of parting through death to the situation of meeting overcoming death. The narrative subject, Cheongjeong-gaksi, goes on a quest to meet her dead husband, and in the process goes through three stages of trials: qualification trials, determination trials, and glory trials. This myth is the story of a woman who overcomes the limits of human existence through training to endure extreme pain in a tragic situation caused by the death of her beloved spouse, achieves the goal of meeting the target with the help of God, and transforms herself into a goddess. In particular, it stands out that this myth is a narrative that focuses on the competence and performance of the female character, who is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In <Princess Bari> and <Igong-bonpuri>, the object of quest or core action of the narrative subject is to bring the dead back to life, whereas in <Dorang-seonbi and Cheonjeong-gaksi> is to meet the dead. In the stage of contract(manipulation) of the narrative, the category or nature of the action of the narrative subject is already determined. Unlike the previous two myths, this myth thoroughly deals with the problem of death that the human subject gazes upon. In addition,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is different from other myths in terms of the aspect of death and the viewpoint of death. <Princess Bari> shows the ontological view of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as an alternative value. In <Igong-bonpuri>, the axiological view of death and ethical judgment are mainly revealed. The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of death is dominant in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It shows how a human being who has met death should view and accept death,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life after death.
본 논의는 함경도 무속신화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신화가 주되게 형상화하고 있는 죽음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사 구조 분석은 기호 서사 차원에서 그레마스의 서사 도식을 활용하여 신화 텍스트를 분절하고 각각의 단계에서 서사 주체의 행로를 통사적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죽음의 의미 분석은 유사한 통사 구조를 가진 죽음과 관련된 신화 <바리공주>와 <이공본풀이>와 비교하여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차별점에 주목하여 진행하였다. 논의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랑선비 청정각시> 서사는 최초 단계와 최종 단계를 통해 죽음을 통한 이별의 상황이 죽음을 극복한 만남의 상황으로 역전된다. 서사 주체인 청정각시는 죽은 남편을 만나기 위한 탐색의 여정을 펼치는데, 이 과정에서 자격, 결정, 영광의 세 단계의 시련을 겪는다. 이 신화는 함께 살아가야 할 대상 존재가 죽음으로써 발생한 비극적 상황에서 극한의 고통을 견디는 수행을 통해 인간 존재적 한계를 초월한 여인이 신의 도움으로 대상과 만나는 목표를 이루고 자신도 신으로서 변신한 이야기이다. 특히 이 신화는 서사 주체인 여성 인물의 역량과 수행에 초점이 맞춰진 서사라는 점이 두드러진다.
<바리공주>와 <이공본풀이>에서 서사 주체의 탐색 대상(핵심 행위)은 죽은 자 살리기라면,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죽은 자 만나기라 할 수 있다. 서사 주체가 본격적인 수행을 하기 직전의 계약(조종) 단계에서 이미 서사 주체의 행위에 대한 범주나 성격이 정해진다. 이 신화는 앞의 두 신화와 달리 철저히 인간 주체가 응시하는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또한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죽음의 양상과 그로 인한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에서도 다른 신화들과 차별적이다. <바리공주>는 죽음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과 대안적 가치로서 삶의 의미를 보여주고, <이공본풀이>는 죽음과 관련된 가치론적 판단이 주요하게 드러난다면,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죽음에 관해 인식론적 관점이 우세하다. 죽음을 맞이한 인간 존재가 죽음에 대해서 어떻게 바라보고 수용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며 이는 동시에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한 인식과도 직접적인 연관을 맺는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9 | 0.942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