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 재검토 = A Re-examination on the Middle-Way Conception in Nagarjuna’s Madhyamaka Though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68(36쪽)
제공처
논자는 본 연구에서 ‘1) 용수의 중도 개념에는 과연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인가? 2) 만약 용수의 중도 개념에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것은 보살의 수행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보행왕정론, 중송, 마하반야바라밀경, 대지도론 등을 중심으로 용수의 중도 개념을 보살행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중송과 회쟁론 등에 따르면, 용수의 중도 개념은 ‘연기, 무자성, 공, 가명, 비유비무, 불생불멸, 불거불래, 불일불이, 불상부단’의 의미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모두 일체법의 진실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따라 용수의 중도 개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일체법의 진실’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와 같은 용수의 중도 개념에는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중송에 대한 구마라집의 번역과 대지도론의 언급에 의하면, 용수의 중도 개념은 ‘일체법의 진실’만이 아니라, ‘불타의 진실지’와 ‘보살의 진실지’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용수에 의하면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을 일체법의 자성에 대한 무인식으로 인도하여, 보시와 지계 등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보살의 여섯 가지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육바라밀로 변모시킨다. 용수가 ‘무집착 의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이유는 불타의 가르침에서 발견된다. 사성제의 가르침에 따르면 무집착은 열반의 특징이고, 열반은 모든 번뇌의 더러움을 떠난 청정하고 완전한 것이기 때문이다. 용수에 의하면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행의 완성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첫째, 보살의 진실지는 자비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보살의 마음을 자비의 자성에 머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자비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소멸하여, 보살의 자비를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완성한다. 둘째,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로 하여금 보시와 지계 등의 자성 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고, 그것들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 과 번뇌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여섯 가지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육바라밀로 변모시킨다. 셋째, 보살의 진실지는 육바라밀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는 십지의 각 단계에서 육바라밀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함으로 써, 보살의 육바라밀을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가 소멸한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유지하여, 마침내 무상정등각을 성취 하도록 돕는다. 넷째, 보살의 진실지는 무상정등각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무상정등각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제거함으로써, 보살의 무상정등각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유지한다. 이로부터 용수의 중도 개념은 ‘일체법의 진실’이라는 의미만이 아니라, 그와 같은 일체법의 진실을 아는 ‘진실지’라는 실천적 의미도 함께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진실지는 용수가 보행왕정론에서 제시한 보살행의 3요소 가운데 하나로서, 보살의 자비와 육바라밀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완성하여 무상정등각을 성취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그가 성취 한 무상정등각을 청정하고 완전한 무상정등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살행의 완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llowing two the questions. 1) Will Nagarjuna’s middle-way concept includes a practical meaning, or not includes? 2) If Nagarjuna’s middle-way concept includes any practical meaning, what roles do it in the bodhisattva-practice? Now, summarizing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The Nagarjuna’s middle way concept contain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truth-knowing-wisdom(眞實智)’, and it is indispensable element for the completion of the bodhisattva-practice(菩薩行). Because the truth-knowing-wisdom serves to lead the bodhisattva to the highest-enlightenment(無上正等覺) which is the completion of compassion(慈悲) and six-paramitas(六波羅蜜), as well as it roll in making the bodhisattva’s highest-enlightenment clean one. More specifically, the truth-knowing-wisdom has the following roles in the bodhisattva-practice. 1)The truth-knowing-wisdom make bodhisattva’s compassion clean one,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戱論), discernment(分別), attachment(執着), and defilement(煩惱) of compassion, by making bo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自性) of compassion. 2) The truth-knowing-wisdom make changes boddhisattva’s six boddhisattva-practice, giving(布施), morality(持戒) etc., into the clean six-paramitas,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of giving, morality etc. by making bo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giving, morality, etc.. 3) The truth-knowing-wisdom help to complete six-paramitas and acchievement of the highest-enlightenment by maintaining bodhisattva’s six-paramitas clean one which removed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by making bod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six-paramitas in each stages of 10steps-performing(十地) in which bodhisattva repeatedly practice the six-paramitas. 4) The truth-knowing-wisdom help to complete the highest-enlightenment clean one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by making bod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the highest-enlightenmen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