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어포던스와 기표에 기초한 다기능 가구의 조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deling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Based on Affordance and Signifi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1-222(12쪽)
제공처
다기능 가구는 형태가 유연하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미니멀리즘 디자인((minimalist design) 트렌드에 맞추기 위해 다기능 가구의 조형(modeling)에 담겨야 할 다양한 정보가 항상 무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들이 ‘심플한(simple)’ 조형에 직면할 경우 인식 마찰로 인해 사용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다기능 가구의 유용성(usefulness)과 편리함(usability)을 더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다기능 가구의 조형에 대해 어포던스(affordance)와 기표(signifier)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문헌 검토와 사례 분석을 서로 결합하는 방법을 응용하였다. 저자들은 우선 관련 문헌을 통해 기표와 어포던스 관계를 정리했다. 그런 다음, 이들은 다기능 가구의 사례별로 조형의 세 가지 핵심 요소(모양·색·재료)가 기능 전환 과정에서 어포던스를 지정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지표의 역할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다기능 가구의 조형이 해당 어포던스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풍부한 정보로 기표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사용자가 가구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그들은 다기능 가구 조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설계 단계를 제시했다. 1 단계: 다기능 가구의 기능은 대상 이용자(target user)의 요구에 근거하여 명확히 해야 하며, 사용자가 다른 기능 간에 전환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동작도 결정해야 한다. 이 단계는 유용성을 실현하는 관건이다. 2 단계: 다기능 가구의 조형은 모양과 색상, 소재의 조합을 통해 구성하고 기능성(functionality)과 동작 가능성(action possibilities), 그에 맞는 동작의 조작 위치 등을 충분히 전달해야 한다. 이 단계가 사용 편의성을 실현하는 관건이다. 그러나 이 두 단계는 향후 연구에서 아직 더 심화돼야 한다.
더보기As multifunctional furniture has flexible forms and could save space, its proportion in daily life is constantly increasing. However, in order to cater to the minimalist design trend, the rich information that the modeling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should contain is always ignored, which causes users to have a series of usage problems because of cognitive friction when facing “simple” styling. In order to allow the usefulness and usability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to be easily perceived by users, the authors conducted a relevant study on the modeling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er and affordance.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authors first sorte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er and affordance in industrial design through related literature. Then, the authors combined different cases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to analyze the role of the three core elements(shape, color and material) of the modeling as signifiers that carry information specifying affordances during the functional transformation. Finally, the authors found that the modeling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can form signifiers with rich information that clearly conveys the corresponding affordances, which is helpful to guide users to form natural interactions with multifunctional furniture. And the authors also put forward the following design steps for multifunctional furniture modeling. Step 1: the functions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should be clarified based on the needs of target users, and the actions that users need to perform to switch between different functions should also be determined. The first step is the key to realizing usefulness. Step 2: the modeling of multifunctional furniture should be constructed through different combinations of shapes, colors and materials, which should fully convey the information of the functionality, action possibilities and the operating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actions. The second step is the key to realizing ease of use. However, these two steps still need to be further deepened in future stud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