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hlorvos가 mouse간장의 인산염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chlorvos on the Phosphatase Activities in the Mouse Liver
저자
이규식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원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이군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정호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발행기관
漢陽大學校環境科學硏究所(Research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ciences Hanyang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7
작성언어
Korean
KDC
539.9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57(11쪽)
제공처
소장기관
Dichlorvos(DDVP)는 유기인제 화합물로서 체내에서 쉽게 가수분해되어 인체에 대한 독성은 비교적 약하나 농촌에서 살충제와 곤충의 구충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시에서도 가정용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어 그 취급과 부주의로 인하여 급성중독증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량의 DDVP에 중독되면 carboxyl esterase활성이 억제되어 acetylcholine이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신경기능장애가 나타나며 cyclic-AMP의 분비가 증가되어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대사과정에도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이에 저자는 DDVP를 실험동물에 투여하면 이로 인한 신경기능장애를 일으킬 뿐 아니라 간장에서 해독과정을 거치면서 간실질세포에 독성이 나타나리라 사료되어 alkaline phosphatase와 adenosine triphosphatase활성을 조직화학적으로 검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0gm내외의 ICR계 웅성 mouse에 체중 kg당 40mg의 DDVP를 주사용 증류수 0.2ml에 희석하여 복강내로 주사하고 1.5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 경과 후에 희생시켜 간장의 좌측전엽을 적출하고 alkaline phosphatase활성은 Gomori법으로, adenosine triphosphatase활성은 Wachstein-Meisel법으로 염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lkaline phosphatase활성은 DDVP투여 1.5시간 경과군에서 mouse간장의 간소엽 주변대와 중간대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일시적인 활성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효소의 활성이 감소하여 DDVP투여 12시간 경과군에서는 간소엽 주변대에서는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간소엽 중간대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2. Adenosine triphosphatase활성은 DDVP투여 1.5시간 경과군에서는 mouse간장의 간소엽 주변대와 중간대에서 모두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DDVP투여 3시간 경과군에서는 간소엽 전역에 걸쳐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12시간 경과군에서는 간소엽 주변대와 중간대에서 약한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간소엽 중심대에서는 미약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소견을 종합한 바 DDVP는 mouse간장에서 초기단계에서는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alkaline phosphatase및 adenosine triphosphatase활성이 증가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들 효소활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Dichlorvos(DDVP) as an organophosphorus compound is so easily and rapidly hydrolyzed that it has a little toxic effect on man. But it has been so widely used as an industrial and domestic insecticide and anthelmintic agent for animals that the accident of chemical poisoning occurs frequently. DDVP is a powerful inhibitor of carboxylic esterase resulting in accumulation of acetylcholine at the synapses, which in turn causes paralysis of the transmission in cholinergic synapses.
And the accumulation of the acetylcholine brings the elevation of the cyclic-AMP level that alters the metabolism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Owing to changes in the metabolism and the detoxification in the liver, hepatic parenchymal cells may be damaged. Therefore, the author undertook the present study to pursue the toxic effect of the DDVP on th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liver.
Albino mice, ICR strain, weighing 20gm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 experimental animals sacrificed at 1.5,3,6,12 and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40mg/kg of DDVP. The specimens obtained from the liver were sectioned with 16㎛ thickness in a frozen cryostat.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observed by the Gomori's method and the activity of adenosine triphosphatase was observed by the Wachstein-Meisel's method for histochemical stud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strongly positive in the periportal and central zones of the hepatic lobule of the 1.5 hour-DDVP treated group.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decreased with time, and moderate positive activity in the periportal zone and negative activity in the central and intermediate zones of the hepatic lobule were observed in the 12 hour-DDVP treated group.
2. The activity of adenosine triphosphatase was moderately positive in the periportal and central zones of the hepatic lobule of the 1.5 hour- DDVP treated group and the strongly positive in the entire hepatic lobule of the 3 hour-DDVP treated group. The activity of adenosine triphosphatase was decreased with time and weak positive activity in the periportal and intermediate zones and trace positive activity in the central zone of the hepatic lobule were observed in the 12 hour- DDVP treated group.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