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칸트의 예술론에 나타난 천재개념의 교육철학적 의미 =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Genius Viewed on Kant’s Theory of Ar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5-46(2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Having an interest in a new education not only presents practical assignments on the appropriate methods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s but also demands philosophical reflections about its possibilities and limits. Contemporary interests in th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can be seen from the same perspective. In this essay the author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based on Kant's philosophy in which so-called 'the gifted' are firmly divided into 'the genius of study' and 'the genius of art.' Kant, distinguishing the genius of study from the genius of art, argues that the one can be raised by imitating and learning, but the other cannot be raised in the same way. The genius of art, so to say, is a concept of limitation which demands a careful observation on possibilities and limits of education for the gifted. Thus, the education for the genius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which raises technical completeness and proficiency of the excellent talented.
This thesis shows that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an be performed not in a form of directive building of a genius, but in a form of negative education which aims at making conditions for the ingenious performances as a genius. As such educational examples Kant proposed studying humanities and experiencing masterpieces of the previous genius. When we recognize such limits of education that an artistic genius cannot be raised by imitating and learning in education, we can enjoy the privileges of training genius in a limited sense. Although a successful manifestation of ingenious talents may be placed out of educational supports, education for the genius can form personal virtues and backgrounds which can be useful in producing arts.
새로운 교육에 대한 관심은 교육방법과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실천적 과제만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철학적 성찰도 또한 요청한다. 요즘 주목받는 영재교육도 마찬가지다. 여기서 필자는 영재교육에서 암묵적으로 작동하는 교육의 연속성 가정을 점검하기 위해서 천재라는 교육학적 한계개념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학문의 천재와 예술의 천재로 엄격하게 구별하는 칸트의 예술론에 주목하고자 한다. 나아가 학문의 천재는 통상적인 교육, 그러니까 모방과 학습으로 길러질 수 있지만, 예술적 천재는 학문과 면학으로 배울 수 없다는 칸트의 주장을 주요 검토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그것을 통해 필자는 먼저 예술적 천재를 양성하려는 천재교육은 빼어난 재능의 기술적 완성도와 숙련성을 길러주고자 하는 교육의 연장선에 서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천재교육의 모습은 천재성을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적극적인 교육이 아니라, 천재성의 작동원리에 바탕을 두고 천재성 발휘의 조건을 조성하는 소극적 교육의 형태를 띠게 된다는 것을 드러내 보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런 교육은 인문학공부와 위대한 작품과의 만남이라는 우회적인 형태를 띠게 된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3-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 KCI등재 |
2011-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8 | 1.27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