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시뮬레이션 실습경험 =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55(9쪽)
KCI 피인용횟수
36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는 최근 환자안전이 무엇보다 강조되는 임상현장의 추세에 의해 간호대학생의 실습경험이 제한되어 실습경험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그 대안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제 상황을 실습실 내에서 재현하고 간호학생이 실제 의료인이 되어 주도적으로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간호중재를 시행하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아동간호실습과정 에 포함시켰을 때 학생들의 경험과 그 교육적 성과를 개방형 질문지와 일지분석을 통해 파 악하였다. 연구결과 아동간호실습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해서 실습을 수행한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실습경험을 보고하였다. 즉 시뮬레이션 실습이 안전한 환경에서 생생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하였고, 학습의욕이 고취되었으며, 임상의사결정능력이 배양되었고, 임상현장에서의 자신감이 향상되는 측면이 있었다 고 보고하였다. 또한 실습에 대한 만족 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 4점 이상의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이는 Bambini, Washburn와 Perkins(2009) 이 특히 임상실습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 간호 학생들에게 임상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는 것이 이들의 의사소통과 자신감, 임상판단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던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미국 National League for Nursing/ Laerdal Medical Corporation (2008) 응급환자 및 중환자 중심으로 제작하여 이를 적용한 상당수의 연구들 (Brown & Chronister, 2009) 에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 이 학습자의 만족도,문제해결능력,비판적 사고,임상의사결정능력,자신감,지식 등의 교육성과가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Shepherd 등(2007)은 특히 시나리오 중심으로 운영되는 시뮬레이션이 간호학생이 현장실습 시에 보이는 의존성과 불안수준을 경감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에 있어서 장애점으로 시뮬레이션의 역동과 환경, 학습자의 사전학습 미비 등을 보고하였다. 이를 통해 향 후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실습을 위해서 무엇보다 구조화된 사전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과 시뮬레이션 환경 의 현실성(fidelity)을 높이는 것이 보다 생생한 실습경험을 하는데 기 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서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당황스러움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환경에 대한 충분한 오리엔테이션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학생 들은 시뮬레이션 활용실습의 장점으로 문제 해결능력훈련기회가 되고, 보다 생생한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의료인의 역 할에 대 해 이 해할 수 있고,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보다 효과적 인 학습방법 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실습일지 에 시뮬레이션 경험을 반영하여 작성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안전한 환경 에서 생생환경험을 할수 있게 하였고, 학습의욕이 고취되었으며,임상의사결정능력이 배양되었고, 임상현장에서의 자신감 이 향상되는 측면이 있었다고 보고했던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시뮬레이션 실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작성된 일지와 시뮬레이션 실습 종료 후 작성한 설문지의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 유사한 결과를 보인 것을 통해 일지분석 방 법이 교육성과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로 비판적 사고 함양과 임상간호수행 향상, 학습동기 촉진이 학생들에 의해 핵심단어로 제시 되었다. 이는 Sullivan- Mann 등 (2009) 이 성인간호학에서 간호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을 때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가 시뮬레이션을 적게 시행했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했던 것 과 비교해 보았을 때 참가자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비판적 사고 에 대해 제기가 된 것이 의미가 있다고 보겠다. 간호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성과가 학습성과 향상을 넘어서 수행능력 향상 과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까지 고려 할 수 있음을 시 사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아동간호교육에서 현실성이 낮은 시나리오와 현실성 높은 시나리오를 비교하여 아동간호시뮬레이션 영역에서도 현실 성 높은 시나리오 적용이 적극적인 학습경험과 협동, 다양한 학습방식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더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한 선행 연구(Burns, O`Donnell, & Artman, 2009; Butler, Veltre, & Brady, 2009)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사용된 현실성 높은 시나리오 (High-Fidelity Simulator) 의 사용이 학생들에게 실 재성을 높이고 실습경험을 생생하게 전개하는 데 중요한 도구 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역할극과 표준화 환자 (Standardized Patient) 등이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와 함께 사용되어 시뮬레이션실습의 효과와 역할극, 표준화 환자 활용 등 의 교육효과가 일정부분 혼합되었을 수 있음이 제한점으로 파악된다. 향후 현실성 높은 시나리오와 역할극, 표준화 환자 각각 의 교육방법 들의 단독효과와 혼합효과를 비 교 분석 하는 추후연 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을 기술적 인 담론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여서 실습만족도는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만족을 묻는 한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이 때문에 실습만족도 점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일반적 특성 및 실습관련 특성과 실습만족도와의 관계를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아 제시하지 않은 것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사교된다.
더보기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mulation experiences of nursing baccalaureate students in their pediatric rotation. Methods: Fifty-three students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s after three sessions of pediatric simulation experiences. The practice reflection notes of the students were also analyzed to identify educational outcomes coming from nursing simulation experiences. Results: The open-ended questions and practice reflection notes showed that simulated pediatric practice provided a virtual experience within safe environment. It also increased learning motiva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overall self-confidence of the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imulation can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through positive clinical experienc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7-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ch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3 | 1.63 | 2.1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