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 현황과 한국형직무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 = Absence and Early Leave Status due to Job Stress and its Relationship to Job Stress Factors According to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y
저자
김정훈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박신구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김동현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김환철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임종한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이의철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이동훈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이지영 (인하대학교 외과대학 사회의학교실)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7-114(8쪽)
제공처
목적: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의 현황과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중소규모 사업장 83곳 근로자들에 대해 한국형 직무스트레스요인 평가도구-단축형(KOSS-SF)과 사회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정 및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이나 조퇴 경험여부 등을 묻는 구조화된 자가 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한 4,350명에 대해 최종 분석을 시행하였다.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와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 하였다.
결과: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를 한 근로자는 남자에서 7%(196명), 여자에서 8%(113명) 로 조사되었고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에서는 남, 여 모두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율이 증가하였다.
결론: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와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은 남자에서는 조직체계 영역이 가장 높았고, 여자는 직장문화 영역에서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of 4,350 workers in 83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ies, and its relationship to job stress factor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each respondent's Sociodemographics, job stress, experience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Seven KOSS-SF domains of job stress were used. We estimated the relation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and job stress fact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Absence or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occurred in 7% of male workers and 8% of female work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job stress-related absence/early leave and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s and occupational climate.
Conclusions: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is significantly attributed to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for men, and occupation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wome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