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개부에 발생한 다형선종의 처치 = MANAGEMENT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PALATE
저자
하주원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백승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송종운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박충열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이용욱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박홍주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오희균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유선열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옥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발행기관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학술지명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5.1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2-577(6쪽)
제공처
Pleomorphic adenoma of the palate is the most common of all intraoral salivary tumors. It can occur at any age but it presents most commonly in the 40∼60 age group, and there is no significant sex preponderance. It grows slowly and is usually painless, firm, well-circumscribed nodule. Because of high rate of recurrence, extra-capsular excision including the overlying mucosa and margin of normal tissue is recommended.
We report 10 cases of palatal pelomorphic adenoma which have been successfully treated by extra-capsular excision. The surgical defects smaller than 3㎝ in diameter were covered with palatal acrylic splint for the secondary healing. The larger defects were repaired using palatal island flap in 3 cases, rotation flap and buccal fat graft in each 1 case. No patient showed any recurrence or malignant change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4 years and 9 months. These repair methods seem to be simple, reliable and uncomplicated procedures in the palatal surgical defec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