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석유고갈 시대의 에너지위기와 위기관리: 모의실험 분석 = Energy Crisis and Crisis Management in the Era of Oil Depletion:A Simulation Analy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9-136(38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Last year, due to high oil prices, oil shock effects spread to the overall
economy of Korea, and our government provides“ Ultra-high oil price policy
response”as measures. This paper from the sense of this problem to raise
the awareness and a more positive response to the energy crisis would like
to urge the energy crisis and the expected damage and the possibility through
a simulation analysis.
If oil prices reach $200 and exceed $300, and long-term problems with
energy transport by the step-by-step scenario analysis of the response system,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mpact could be very serious. In particular,
such as last summer due to high oil prices, the energy production in the
international conflict, and sea transport such as containment, Korea could
develop into a state of emergency. In case of the energy crisis, the government
prepares in advance the prevention and crisis management. However, the
current oil crisis management system is separated by several department of
government.
Even though, 20~30 years later, the long-term measures are important,
prepared for coming soon to the energy crisis, an emergency situation, a
short-term and effective energy crisis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Related
to energy security, the fuel-saving skills training model and high-efficiency
energy structure of the military system will be called when needed.
지난해 고유가로 인한 유가충격이 한국경제 전반에 파급효과를 미치면서
우리 정부도“초고유가 대응책”을 마련하는 등 나름대로 대책마련에 부심
하였으나 이러한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처한 심각한 해외 에너
지의존 상황이나 에너지환경의 변화, 미흡한 대체에너지 개발상황에 비추어
볼 때 아직도 우리 국민의 에너지절약 의식이나 정부의 에너지안보대책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차제에 국민
들에게 에너지위기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에너지위기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자 에너지 위기의 가능성과 그 예상피
해 및 파장을 가상 모의실험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즉 국제유가가 200불에
도달할 경우, 300불을 넘어설 경우, 그리고 에너지 수송로에 문제가 생겨
장기적으로 원유수급차질이 생길 경우의 단계별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분
석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의 에너지위기 대응 시스템 하에 에너지 위기상황
이 발생하였을 경우,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매우 심각한 충격이 올 수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여름과 같이 고유가로 인한 유가충격도 문제
지만 석유에너지 대부분을 특정지역에만 의존하고 있는 우리의 에너지 수
급구조상 에너지 생산지역에서의 국제분쟁, 또는 해상운송로 봉쇄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국가 비상사태로까지 발전될 수도 있다. 국가 핵심
기반 분야에 대한“에너지위기”의 충격은 심각하여 환율 및 수입물가 급등,
주식 폭락 등으로 사실상 금융부문 전반에 걸쳐 비상사태가 발생할 수 있
으며 항공운수업의 원유수급차질과 수익성악화로 관련 산업인 관광, 호텔,
여행 사업의 연쇄 도산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유가 상승으로
인해 물류파동 및 화물연대 파업과 정전사태로 인한 폭동이 발생하여 사회
전역에 치안불안이 확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에너지 위기가 발생할 경
우에 대비하여 우리 정부도 나름대로 위기관리 차원에서 사전 예방 및 대
비정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원유수급 관련 위기관리 체계는
부처 고유 기능에 근거한 분산적 위기관리 체계로서 원유수급 문제를 에너
지 안보차원에서 총괄 기획·조정하는 기능이 미흡하며 미래 에너지안보 강
화를 위한 전략적 마인드도 부족하다.
따라서 20~30년 후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대책마련도 중요하겠지만 당
장 조만간 닥칠 수 있는“에너지위기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민관군이 함께
전략적으로 준비하는“단기적이고 효과적인 에너지위기대책”을 시급히 마련
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안보와 관련 정부는 에너지 안보강화를 위한 인프
라의 구축과 전략 마련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한편, 민간기업차원에서는
에너지위기발생 시에도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으로
체질을 개선해 나가고 군 또한“유류절약형 훈련모델 개발 및 에너지수송
안보능력의 제고 등”을 통해 에너지 고효율 구조로 혁신해 나가는 등 민관
군이 함께 공동협력하고 대응하는“선진 에너지안보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
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01-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7 | 0.579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