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각막곡률과 TBUT의 변화 = Changes of the Corneal Curnature and TBUT in Contact Lens Wear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서울보건대학 부설 한국보건과학연구소 논문집(Annual Bulletin of Institute of Health Research )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7.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9-100(12쪽)
제공처
RGP 및 Soft 콘택트렌즈 착용자 28명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후 1년 동안 각막곡률과 굴절이상도 및 눈물의 변화도를 알아보았다. 각막곡률과 굴절이상도에 대한 데이터분석은 디옵터굴절력을 디옵터굴절력매트릭스로 변환시키고 단변량 및 다변량 통계분석을 하고 3차원 h벡터 공간에 신뢰영역을 도시하였다.
각막곡률의 평균변화도는 RGP 착용군에서 주로 h_(3) 성분이 플랫하게 변화되며 1년후에는 수평성분도 플랫하게 변화되었고, Soft 착용군에서는 착용초기 플랫하게 변하다가 1년후에는 약간 스티프해지는 변화를 보였으나, 착용전후 각막곡률의 평균에 대한 3변량 가설검증 결과 두 그룹 모두 착용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w<F_(0.05. 3. n-3)). 굴절이상도의 평균변화도는 RGP착용군에서 h_(1) 및 h_(3) 성분이 착용전과 비교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0.05), Soft 착용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3변량 가설검증 결과 두 그룹 모두 착용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w<F_(0.05. 3. n-3)). 각막곡률의 변화와 굴절이상도의 변화는 RGP 착용군에서 h_(2) 성분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은 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보다 평균값에서 길게 측정 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눈물막 파괴시간을 측정하는 TBUT 방법과 NIBUT 방법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l년 착용군의 TBUT 검사에 의한 눈물막 파괴시간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따라서 RGP 렌즈를 장기간 착용하게 되면 각막굴절력 및 각막난시도의 감소와 굴절이상도의 구면성분 및 원주성분이 감소될 것이며, 콘택트렌즈 착용에 의하여 눈물이 불안정해진다고 생각된다.
28 patients wearing RGP and soft contact lenses were studied for one year. Data analysis of variation in corneal curvature and refractive error was carried out using matrix representations of conventional dioptric power. Confidence regions for mean dioptric power were represented by principal axes in a 3 - D space called h - space.
Variations in the corneal curvature of RGP Group did show a significant decrease (h_(3) component). but those of Soft Group showed irregular change of intial flattening and minor steepening during experimental period. Variations in refractive error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h1 component and h₃component of RGP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either corneal curvature and refractive error by the multi-variate statistics.
NIBUT valu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TBUT values in avera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ontrol eye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either TBUT or NIBUT values. The stability of the precorneal tear film after 1year of wear was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the precorneal tear film before lens insertion in the values of TBU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