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 <AG> 그룹에서의 "아방가르드" 연구 = A Study on "Avant-garde" in AG Move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1-96(26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글은 1960년대 한국 미술에 등장한 예술 운동인 <AG>그룹에 관하여 탐구한다. 이들은 한국미술사에서 최초로 전위적인 미술운동을 표방하며 스스로를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칭하였다. 또한 당시 서구의 선진 미술 현상을 적극적으로 연구하면서, 한국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연구하고 활동하였다. 필자는 이들 운동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양상들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특히나 ‘아방가르드’라는 용어에 집중하여 살펴볼 것이다. 최초로 아방가르드라는 용어가 시작된 19세기 유럽에서부터 20세기 후반의 네오 아방가르드까지, 그 의미와 그 발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는 필연적으로 이용어가 미술로 수용되어 사용된 흐름을 되짚어보는 작업을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아방가르드 미술의 흐름과 그에 대한 비평을 전개한 이론가들을 차례로 살펴보며, 서구 아방가르드에 대한 개략적인 지형도를 만들어 볼 것이다. 이러한 지형도 위에서 한국의 <AG> 그룹에 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들의 운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본고에서는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 중에서도 이들 운동의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선택적으로 설명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이들 운동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인 이론과 현상의 합일적 실천에 집중할 것이다. <AG>그룹은 작가들과 이론가들이 최초로 함께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실천과 이론의 양상 모두를 선진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나아가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들 운동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이론가의 글들을 함께 고찰해 봄으로써, 그룹이 나아가고자 하였던 목표에 대하여 살피고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근거로 AG 그룹의 작품들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탐구를 바탕으로 하여 필자는 한국의 <AG>그룹의 양상이 서구의 아방가르드와 제도 비판이라는 본질을 공유하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당시 한국 아방가르드 운동이 수용하였던 서구의 아방가르드 이론과 현상은 초기 아방가르드 이후의 네오 아방가르드였음을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과 당시 한국의 사회상을 살펴봄으로써 AG 운동에서 ‘아방가르드’라는 용어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맥락과는 별로 부합하지 않으며, 미술의 제도 안에서의 변혁을 목표로 하였음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초기의 유럽 아방가르드가 아니라 동시대의 네오 아방가르드적 양상과 의미를 공유한다고 하여 <AG>그룹의 의의나 의미가 희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 그룹은 당시 한국 미술에서 아카데미적인 기존의 미술제도를 공격하고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미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이어나갔으며, 그 결과 새로운 실험정신을 한국 미술에 도입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Korean avant-gard art movement, named AG movement, was emerged in 1960s in Korea. This paper will be focused on the AG movenment, compared to Western avant-garde theories and art where oriented it. The AG movement accepted the practices of modern Western art and the ideas/theories of ‘modern art’ at the time, and tried to proceed the avant-garde art in Korea. Therefore the AG movement was founded by a group of artists and theorists to aim the leading a new stage of Korean art. I, however, argues that the Korean AG movement actually share more similar idea with Neo-avantgard which was influenced by the European AG art rather than Ag in Europ in 1930s-40s. There will be three steps to support the argument. First, start with the etymologic approach of the term, which will explai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and how the word started to use in art world. Followed by the meaning of the word, we will study several significant theorists to explain the idea of avant-garde and neo-avantgarde. Based on the former of Europe and American avant-garde, I will explain that the essene or the nature of avant garde is the character of resistance, whether toward social-politic or art institution. Therefore, the Western/European’s avant-garde works had various artistic practices which show the art is more than a image on the flat canvas, so it includes the relation with participating in a political parties or presenting new genre of arts. Neo-avantgarde also inherits from it. Unlike its ancestor, however, Neo-avantgarde was more focused on destructing artistic institution rather that politic of social issues in 1960s. As a conclusion, the Korean AG movement shared the idea of contemporary western art, Neo-avantgard, which allow them to create various experimenting art to attack the existing Korean academic art and its system in 1960s Korea.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0-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31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