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 초 군소종파 소속의 자복사찰資福寺刹 실태 - 자복사찰 19사의 연혁과 변천을 중심으로 = The realities of the Jaboksa temples belonging to minorsects in the early Joseon - Focusing on the history and changes of the 19 Jaboksa temples
저자
윤기엽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6-174(3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was a study on the 19 Jaboksa temples belonging to three minor sects of all 88 Jaboksa temples in the reign of Taejong(太宗),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grasped the real facts of the 19 Jaboksa temples each along with the substance of minor sects and the trends and changes in Buddhism of the early Josoen dynasty. The studies of the early Joseon Buddhist history we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suppressing policy of Buddhism for a long while, but this study investigated another aspects of the Joseon period Buddhism through minor sects and affiliated temples reorganized by the state.
The 19 Jaboksa temples consisted of 8 temples of Jungsingjong (中神宗) sect, 8 temples of Chongnamjong(摠南宗) sect, 3 temples of Sihuengjong(始興宗) sect, and they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except for Hamgildo Province and Pyeongando Province. The 8 temples of Jungsingjong sect, which Jungdojong(中道宗) sect and Sininjong(神印宗) sect were integrated into, were mostly built in the Silla era and distributed in the 3 south provinces, most of them were ruin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8 temples of Chongnamjong sect, which Jungdojong(中道宗) sect and Sininjong(神印宗) sect were integrated into, were temples mainly of the Goryeo(高麗) era and be influenced by Seon Buddhist temples.
The 3 temples of only Chongnamjong sect were the fewest temples, but were distribut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and there is little contents to which people have access.
The 19 Jaboksa temples belonging to three minor sects were planned according to the country’s Buddhist policy, and ever since the reign of Taejong,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ect have been gradually tarnished.
본 연구는 조선 태종太宗 7년에 지정된 자복사찰資福寺刹 88사 중 3개의 군소종파群小宗派에 소속된 19사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 초 군소종파의 존재와 더불어 그것에 소속된 19사 각 사찰의 실태를 파악하여 조선 초 불교계의 변화와 동향을 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 조선 초의 불교사연구는 대개 억불정책抑佛政策에 집중되었지만, 본 연구는 국가에 의해 재편성된 군소종파와 그 소속 사찰의 고찰을 통해 조선조 불교사의 또 다른 측면을 조명하였다.
자복사찰 19사는 중신중中神宗 8사‧총남종摠南宗 8사‧시흥종始興宗 3사로 편성되었고, 함길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전국 지방에 비교적 균등히 분포되어 있었다. 중도종中道宗과 신인종神印宗이 통합된 중신종에 소속된 8사는 대개 신라시대에 창건된 고사찰로 주로 삼남三南 지방에 분포하였고, 임진왜란 때 대부분 폐사되었다. 총지종摠持宗과 남산종南山宗이 통합된 총남종에 소속된 8사는 주로 고려시대의 사찰로 선종사찰의 영향력이 강했다. 독자의 종파인 시흥종에 소속된 3사는 가장 적은 수효였지만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한 듯하나 전해오는 내용은 거의 없다. 자복사찰 19사의 소속 종파는 태종 때 조정의 불교시책에 의해 인위적으로 편성되었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8-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2 | 1.324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