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Dance Wellness Curricular Model for Higher Education Dance = 고등 무용교육을 위한 무용 웰니스 교육과정 모형
저자
Cardinal, Marita, K. (Dance Division of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Wayne State University)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6
작성언어
English
KDC
68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23-232(10쪽)
제공처
무용 웰니스는 무용의 한 영역으로서 여러 학자들이 설명한 바, 무용가의 건강과 복지(well-being) 전반에 걸친 일반적 목적으로서 폭넓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즉, 이목적은 질적이고 양적인 수행가능성의 향상율과 관련되어 있다. 고등 무용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 웰니스는 3가지 기본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즉, 1)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과 무용 전문가에 대한 교육 2) 무용가들의 건강관리과 의료서비스 그리고 3) 무용 웰니스에 대한 학문적 연구이다. 무용 웰니스는 일정한 한계가 없지만 대체로 무용의학, 무용과학, 인체학, 그리고 웰니스 분야로 이루어 진다. 즉 건강과 복지를 위하여 균형되고, 통합된 학제(學際)적 접근을 시도한다. 그것은 개인적 참여자 각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무용의 영역중 독특한 분야이다. 무용 웰니스 모형의 합리적 기반은 무용의학, 무용의학, 그리고 인체학에서 현대의 전문적 학문에 기초되어져 있다.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로서 관련된 분야에서 10명의 숙련자와 88명의 무용 프로그램 행정가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무용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의 두가지 주요 차원은 교육과정 요소와 수행 전략들이다. 10대 교육과정 요소는 1) 해부학, 2) 생리학, 3) 운동학, 4) 생체역학, 5) 신체요법, 6) 무용상해, 7) 영양학, 8) 개인건강, 9) 심리학, 기리고 10) 운동학습, 운동발달, 운동제어이다. 각 요소들은 전문 무용교사, 무용수, 그리고 안무가들을 위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지식의 중요성에 관하여 설명되고 기술되어 졌다. 무용분야/프로그램들 속에서 웰니스 프로그램의 다양성 뿐만 아니라 10대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기술하게 될 것이다.
고등무용교육에서 무용 웰니스 프로그램을 위한 최소한의 지침들을 무용 웰니스 교육과정 모형에 근거하여 소개하였다. 무용분야/프로그램들은 무용가들의 건강과 복지에 기여할 것이고 무용가들의 수행 잠재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Dance wellness is described by the researcher as an area of dance which is comprised of a wide array of components which share as a common goal th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f the dancer, as related to increased qual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potential. In higher education dance programs, dance wellness has three primary functions: (a) ,the education of dance students and dance professionals. (b) the service and care of dancers' health needs, and (c) research in areas related to dance wellness. Dance wellness draws form, but is not limited to, the disciplines of dance medicine, dance science, somatics, and wellness; seeks a balanced, integrat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health and well-being; is specific to the individual participant; and is unique to the field of dance. The rationale supporting the dance wellness model is based on contemporary professional literature in dance medicine, science, and somatics; a review by a panel of 10 experts in related fields; and feedback received from 88 dance program administrators as part of a doctoral dissertation. The two major dimensions of dance wellness education programs are curricular component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he mten curricular components are: (a) anatomy; (b) physiology; (c) kinesiology; (d) biomechanics; (e) body therapies; (f) dance injuries; (g) nutrition; (h) personal health; (i) psychology; and (j) motor learning, motor development, and motor control. The components will be defin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importance of knowledge in each area for the professional dance teacher, dancer, and choreographer.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10 components as well as a variety of supplementary wellness programs (e.g., health screenings/assessments), into dance departments/programs will also be described. Based on the dance wellness curricular model presented, specific, minimum guidelines for dance wellness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dance departments/programs will be advanced in an effort to optimize dancers' health and well-being and enhance dancers' performance potential.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