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려인 학자 박 보리스 드미트리예비치 교수의 구술생애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0(48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고의 목적은 극동에서 출생한 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당하여 유년 및 청년 시절을 보낸 다음, 주요 거처를 시베리아 지역으로 삼았던 고려인 학자 박 보리스 드미트리예비치 교수의 생애를 구술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소규모 형태로 형성된 고려인 사회에서 롤-모델적 인물이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생애사를 통하여 당대 사회가 이해될 수 있는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박 보리스 교수는 블라디보스톡 유년 시절, 강제이주, 중앙아시아 소년 및 청년시절, 모스크바 유학을 거쳐 이르쿠츠크 33년 그리고 현재 모스크바 생활 8년을 지나는 동안 혹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학자로서의 성공적인 삶을 구가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박 보리스 교수는 대부분의 고려인들이 일반적으로 겪었던 강제이주 및 소수민족으로서의 애환을 분명히 받았고, 가정적으로는 부친의 정치적 희생 또 이에 따르는 피해를 받는 등 악조건 하에서 오로지 교육과 학문에 열정적인 노력을 한 끝에 그 공적을 사회와 국가로부터 인정받았다. 박 보리스 교수에 대한 평가 중 우선 여기서 지적해야 할 것은 무엇보다도 학문적 열정이 뛰어났다는 점이다. 그리고 박 보리스 교수 자신이 밝힌 학문연구의 방향은 지금까지 크게 네 시기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시기는 초창기 칸디다트 과정의 연구단계로서 주로 한인의 독립운동사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두 번째는 한․러관계사 연구이다. 세 번째는 러시아한인사 연구이며, 네 번째 시기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로서 러시아 한인들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박 보리스 교수는 강제이주 후 중앙아시아 거주 시기에 ‘북극성’ 콜호즈 쉬콜라에 근무하게 되어 김병화 회장과 같은 뛰어난 인물과도 함께 일하기도 하였다. 콜호즈 생활에 대한 박 보리스 교수의 인상은 그의 경험상 매우 긍정적인 것이었다. 박 보리스 교수의 이르쿠츠크 생활은 실로 우연하게 이루어졌다. 칸디다트 과정을 끝마친 박 보리스 교수는 연고지였던 타쉬켄트로 가서 교수생활을 하지 못하고 당국의 명령으로 이르쿠츠크 국립사범대학교로 가게 되었고 이후 33년 동안이나 이르쿠츠크에서 지내게 되었다. 박 보리스 교수는 이르쿠츠크에서 많은 것을 이룩하였는데, 학자로서의 업적과 명성을 얻었고, 이르쿠츠크시 구의회 의원으로서 활동도 하였고 고려인협회 명예회장으로서 고려인 사회에서 존경을 받았다. 이르쿠츠크에 있는 동안 한국학자들과의 만남도 이루어졌고 한국방문도 여러 차례 경험하게 되었다. 그 결과 박 보리스 교수는 현재 모스크바에 거주하고는 있지만 시베리아인 혹은 이르쿠츠크의 저명한 고려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더보기В данной статье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история жизни выдающегося корейского учёного‐историка профессора Бориса Дмитриевича Пака, который родился в 1931 г.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учился и работал в Средней Азии (Узбекистане), Сибири. Прежде чем дать оценку научному подвигу Бориса Дмитриевича, следует отметить, что у него уже в университетские годы появилась высокая страсть к науке. Когда он окончил в 1950 г. среднюю школу в колхозе, он, как и многие в те годы, бедствовал и потому вынужден был один год проработать учителем в школе при колхозе и только на следующий год поступил на восточный факультет Средне-Азиат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в столице Узбекистана г. Ташкенте. Тогда у Пак Бориса, как и у всех корейцев, переселенных из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 Среднюю Азию, не было права на выезд за пределы Узбекистана. В университете он изучал историю стран Востока, в том числе и историю Кореи, принимал участие в научной работе, часто выступал на студенческих научных конференциях. В 1953 г. был опубликован его первый доклад по истории Японии. После окончания университета в 1956 г. Борис Пак работал учителем, а потом директором в средней школе в колхозе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Ташкентской области, где председателем был единственный в СССР кореец – дважды Гер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го труда. В 1962 г. Борис Дмитриевич поступил в аспирантуру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педагогиче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им. В.И. Ленина и в 1965 г. защитил кандидатскую диссертацию «Освободительная борьба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накануне Первой мировой войны». В годы учебы в аспирантуре он самостоятельно начал изучать корейский язык. В результате он мог уже с помощью словаря читать и переводить на русский язык научную литературу на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После окончания аспирантуры Борис Пак был направлен преподавателем истории стран Востока в Иркут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едаг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Так началась его деятельность в высшем учебном заведении. Вскоре он получил звание доцента и был выбран деканом исторического факультета.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