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변화에 따른 적정기술 관련 논의 변화와 사례 유형화 연구 = A Study on Appropriate Technology Categorization that Combines ICT with Changes in Appropriate Technology Discours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7-250(2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In response to the recent rapid change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and use of appropriate technologies combined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techn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appropriate technology using ICT by investigating how appropriate technology-related discussions evolv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ppropriate technology cases combined with ICT.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discussions about appropriate technology by collecting news reports related to appropriate technology since 1990 and analyzing keywords and core topics in news reports us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following are the analysis’s key findings.
For starters, as a result of news big data analysis, news reports about appropriate technology began to appear in earnest after 2010, coinciding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Key word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media reports were associated with new words that differed from existing appropriate technologies, such as start-up, innovation, market, future, and convergence.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six major groups of topics were discovered: “Future Participation,” “Eco-friendly Citizen Participation,” “ICT Marketcentered Approach,” “People-Centered Design,” “Private Social Contribution,” and “National Support Policy,” and issues of private, civic participation, market-centered approach, and product design emerg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se and approach to appropriate technology have shift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he connection between ICT technology and appropriate technology is strengthening.
Second, the implications of analyzing the cas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ppropriate technologies combined with ICT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indings, appropriate ICT-based technologi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echnology competency reinforcement, social integration, underprivileged support, and happiness promotion. Small personalized technologies, with a high cost structure and high usability, characterize the four types of appropriate technologies. A marketoriented approach is associated with the high-cost structure, and small-scale and personalized characteristics appear to be derived from ICT technology attributes.
Taken as a whole, a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information resources rise, so will the use of ICT-based appropriate technologies to strengthen the digital capabilities of the information underprivileged, address the imbalance in access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provide even more universal welfare through digital technology.
최근 ICT 기반 기술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과 접목된 적정기술의 개발 및 활용 사례가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정기술 관련 논의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ICT와 접목된 적정기술 사례의 유형 및 특징은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ICT를 활용한 적정기술이 지닌 기술적, 사회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했다.
우선, 적정기술 관련 논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적정기술 관련 언론보도를 수집하여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언론보도에 나타난 핵심어와 주요 이슈를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ICT 활용 적정기술 사례를 수집하여 기술의 속성과 활용주체/대상을 축으로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비용, 규모, 사용성, 협동성, 지속가능성 등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 분류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사례 유형별 특징을파악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보도 분석결과, 적정기술과 관련한 언론보도는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궤를 같이한다. 언론보도에서 발견된 핵심 빈출 단어들은 창업, 혁신, 시장, 미래, 융합등 기존의 적정기술과는 다른 새로운 단어들이 적정기술과 연계되어 출현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미래참여’, ‘친환경 시민참여’, ‘ICT 시장접근’, ‘사람중심 디자인’, ‘민간 사회공헌’, ‘국가 지원정책’ 등 여섯 개의 주요 주제 군집이 발견되었고, 기존의 적정기술 관점과 달리 민간, 시민참여 중심, 시장중심 접근과 제품 디자인 활용 이슈들부상하였다. 언론보도 분석결과, 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정기술의 활용과 접근방식이 변화되어 왔으며, ICT 기술과 적정기술의 연계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ICT와 접목된 적정기술의 사례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한 결과와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ICT 활용 적정기술은 기술역량강화형, 사회통합형, 소외계층지원형, 행복증진형 등 4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네 가지 유형의 적정기술은 고비용 구조와 높은 사용성을 지니며, 소규모 개인 맞춤형 기술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고비용 구조는 시장중심 접근과 연관되며, 소규모, 개인 맞춤형 특징은 ICT의 기술속성에서 비롯된 것으로보인다.
종합하면, 정보자원의 가치와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정보소외계층의 디지털 역량 강화, 정보자원의 접근 및 소비불균형 해소, 나아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편적 복지를 제공하는 데 ICT를 접목한 적정기술의 활용도가 높아질것으로 전망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 KCI등재 |
2022-03-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4-03-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