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해수면 상승과 국가성 : ILC 논의의 의의 및 한계를 중심으로 = Sea-level Rise and Statehood :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Work of the ILC
저자
임예준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63-300(38쪽)
제공처
소장기관
Sea-level rise is a pressing concer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n 2018, the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 included the topic of ‘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 in its long-term program of work. The syllabus for the topic suggested three issues as sub-topics to be examined concerning the legal implications of sea-level rise: the law of the sea, statehood, and the protection of persons affected by sea-level rise. In 2019, the ILC decided to include the topic in its program of work and established an open-ended Study Group. In 2021 the Study Group discussed the first sub-topic of the law of the sea, and in 2022, issues relating to statehood and the protection of persons affected by sea-level rise were discussed.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cussion of the ILC Study Group on the sub-topic of statehood,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this discuss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ILC in dealing with statehood. Statehood in relation to sea-level rise is an issue that deserves considerable caution. The consequences of sea-level rise for statehood are an existential matter of sovereign States and are related to the foundational aspect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discussion of the issue is prima facie limited in that there is no generally accepted notion of ‘State’ and in that the ‘continuative elements’ for statehood are not addressed in international law. Since there is no record of situations where the territory of a State has been completely submerged or rendered uninhabitable, discussion of the issue is challenging for the ILC in terms of its materials and methodology, to deal with a purely speculative scenario lacking State practice. Moreover, the nature of the issue means it is easier to trigger policy-oriented options than to deal with the legal dimension. This fundamentally raises the question of the role to be played by the ILC, which is established to promote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and its codific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assumptions of the discussion and explores the issues related to statehood based on the second issues paper presented by the Co-Chairs and the Report of the Study Group. It further explore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discussions on the sub-topic of statehood, focusing on the role of the ILC.
해수면 상승은 국제공동체가 지대한 관심을 두는 주제이다. 2018년 유엔 국제법위원회(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이하 ‘ILC’)는 ‘국제법 관련 해수면 상승(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을 장기작업주제로 채택하고, 해수면 상승의 법적 함의를 다루기 위해, 해양법, 국가성,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사람의 보호를 세부 주제로 제시하였다. 2019년 ILC는 ‘국제법 관련 해수면 상승’을 새로운 작업주제로 채택하고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였다. 2021년에는 첫 번째 해양법 주제를 다뤘으며, 2022년에는 국가성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사람의 보호 두 개의 주제를 다루었다.
이 글은 2022년 ILC가 다룬 세부 주제 중 하나인 ‘국가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 주제에 대한 ILC 논의의 의의 및 한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수면 상승과 국가성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주제이다. 해수면 상승이 국가성에 미치는 영향은 그 자체로 주권국의 실존에 관한 중대한 문제이며, 국제법 주체에 관한 논의로서 국제법의 근간과도 연결된다. 그러나 이 주제는 ‘국가’에 대해 보편적으로 합의된 정의 및 국제법상 국가의 ‘존속요건’에 대한 확인이 없는 상태에서 기존 법리 및 법적 체계 내에서 논의될 수 있는 영역의 한계가 있다. 또한, 국가실행이 없는 상태에서 추정적 시나리오를 다루어야 한다는 점은 ILC 논의의 재료와 방법론 측면에서 도전이 되고 있다. 나아가 쟁점의 성격상 법적 함의의 도출보다는 정책적 결론으로 빠지기 쉽다. 이는 국제법의 점진적 발전과 성문법전화를 위해 설립된 ILC의 역할에 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은 먼저 논의의 배경 및 전제를 조망하고, 공동의장이 제출한 두 번째 쟁점 보고서 및 스터디그룹 논의를 거쳐 채택된 보고서를 중심으로 해수면 상승과 국가성 관련 주요 쟁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ILC가 국가성 쟁점을 다룰 수 있는 논의 범위가 어디까지이며, 어떠한 결과물을 도출해 낼 수 있을지, 향후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