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의용대(군)의 항일음악 창작과 문화활동 = The Creation of Anti-Japanese Song and Propagation Activities of ‘Korean Volunteer Corps’(朝鮮義勇隊)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 근현대사 연구(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8(3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1938년 10월 10일 중국 湖北省 漢口에서 창립한 조선의용대는 일제 침공으로 廣西省 桂林(로 거점을 옮겨 항일전선에 참전하는 한편, 대중들에게 항일사상 교육과 문화선전을 위해 항일음악을 만들고 널리 보급하였다. 민족혁명당의 간부이며 조선의용대 교관인 尹世冑는 군사훈련을 받는 대원들의 사기를 돋우기 위해 <최후의 결전>이란 곡을 편곡하였는데, 이후 조선의용군와 한국광복군에도 널리 불리우는 항일음악의 상징곡이 되었다. 저명한 항일 문필활동가인 李斗山이 1939년 작사·작곡한 노래 <先鋒隊>는 광복군 군가집에 실리어 널리 보급되었다. 桂林에 주둔한 조선의용대 대본대는 중국 당·정·군 간부들은 물론 지역주민들을 위한 각종 문화선전 활동을 적극 펼쳤다. 문화선전대에서 준비한 가극 <아리랑>과 <조선의 딸> 공연은 중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받으며 감명을 주었다. 또한 일본군포로를 초청해 연 다과회와 중국 군관학교 졸업식 행사에서 불려진 <일본반전가>와 <전기가> 등의 노래공연은 중국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桂林에서 重慶으로 근거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대원들은 역사적인 항일음악을 다수 창작하였다. 이두산의 장남 李貞浩는 1940년 2월 행진 광경을 담은 노래 <중국의 광활한 대지 위에>를 발표해 만주 일대와 북한지역에까지 널리 보급하였다. 중국 국·공 내전의 위협 속에 화북으로 진출한 조선의용군 화북지대는 태항산에서 항일전투를 치르는 한편, 항일군가를 만들어 보급시키는 ‘군중창작활동’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연안송>에 이어 <팔로군행진곡>을 작곡해 저명인사가 된 정율성은 조선의용군의 활동을 묘사하는 노래를 창작하였다. 대원 김학철과 이화림 등은 항일전투로 희생된 동지들을 추모하는 내용의 <조선의용군추도가>나 황무지 개간하면서 전통민요를 개사한 <미나리(타령)>·<호메가> 등 노동요를 창작하였다. 일제의 패망 직전, 정율성은 만주를 거쳐 압록강을 건너 조국으로 나아가려는 조선의 용군의 기상을 행진곡풍으로 묘사한 <조국 향해 나가자>를 작사·작곡해 항일전쟁의 기백을 널리 떨치었다.
더보기Founded on October 10, 1938 in Hankou, China, the Korean Volunteer Corps moved to Guirin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and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front, while making and distributing anti-Japanese song for anti-Japanese education and cultural propaganda. Youn-seju, an official of the ‘Korea National Revolutionary Party’(民族革命黨) and a military instructor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朝鮮 義勇隊), arranged the song “The Last Battle” to boost the morale of the military-trained members, and later became a symbol of anti-Japanese song. The song “Vanguard”, written and composed by Lee-dusan, a renowned anti-Japanese literary activist,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military songbook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光復軍). Headquarters of Korean Volunteer Corps in Guirin actively engaged in various cultural propaganda activities for Chinese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officials as well as local residents. The performances of “Arirang” and “Daughter of choseon” prepared by the Cultural Propaganda group impressed the Chinese people. In addition, performances of songs such as “Japan Anti-War Song”, which were sung at the tea party and graduation ceremony of the Chinese military academy by inviting Japanese prisoners, were widely known through the Chinese media.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Guirin to Chongqing, the crew created a number of historical anti-Japanese song. Yi Du-san’s eldest son, Lee-jungho, released the song “On the Broad Land of China” in February 1940, which spread to Manchuria and North Korea. The Hwabuk area of Korean Volunteer Army’s, which entered Hwabuk amid the threat of China’s civil war, fought against Japan at Taihang Mountains, and was not lazy to create and distribute anti-Japanese military songs. Following Song of Yan’an, Jeong-Yulsong, who became a prominent figure by composing the March of Balujun Army(八路軍), created a song that describes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Volunteer Army’(朝鮮義勇軍). A small number of Kim Hakchoul and Lee Hwarim created labor songs such as “Requiem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and “Minari Taryeong”, “Homega”, which were reconstructed by recreating traditional folk songs in memory of comrades killed in the anti-Japanese war. Right before the collapse of Japan, Jeong Yul-seong wrote and composed “Let’s Go Towards Our Country,” which describes the spirit of the Korean Volunteer Army’s attempt to cross the Yalu River to his country through Manchuria, widely shaking the spirit of the anti-Japanese war.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2 | 1.675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