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헌법개정 절차의 역사적 변화와 개선 방안에 대한 고찰 = History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cedure
저자
홍석한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7-138(42쪽)
제공처
본 연구는 헌법개정의 역사에서 드러난 절차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행 헌법의 헌법개정 절차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분석한 다음, 헌정사의 교훈을 반영하는 가운데 헌법이 그 규범력을 강화하고 권력 통제와 기본권 보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헌법개정 절차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우리 헌법개정의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은 대체로 정부와 집권 여당을 중심으로 정권을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치구조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에 대한 반성이 현행 헌법의 헌법개정 절차의 경직성으로 귀결되었고, 그 영향으로 마지막 개정 이후 다시 약 40년이 지나도록 단 한 차례의 헌법개정도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헌법개정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헌법의 규범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다만, 현행 헌법과 같이 경성헌법이 자리를 잡게 된 배경, 즉 지난 헌법개정의 역사를 통해 얻은 헌법개정에 관한 국민적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된다. 민주적인 과정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헌법개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면서 헌법의 규범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헌법개정 절차를 개선해야 한다.
이에 헌법개정안의 발의 주체를 확대하여 국민발안제를 도입하거나 실질적으로 국민발안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국회와 대통령의 헌법개정안 발의에 앞서 국민의 충분한 검토와 공감대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을 하는 방안, 국민투표없이 국회의 의결만으로 헌법개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현행과 마찬가지로 국회의결 및 국민투표에 의한 개정 절차를 유지하되 각 의결의 정족수를 완화하는 방안 또는 헌법개정의 규모나 내용에 따라 현행 헌법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도록 하는 방식과 현행 헌법의 의결 요건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헌법개정 절차를 이원화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무엇보다 국민의 의사를 폭넓게 수렴하여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과정이 선행되고 국회에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진 후에 공식적인 헌법개정 절차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헌법개정 절차를 유연화하는 경우에도 수적 우세를 앞세운 졸속 개정이나 헌법과 법률에 따른 절차를 위반한 개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철저하게 봉쇄해야 한다. 국민적 합의와 공개된 토론을 위한 헌법개정 절차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정당한 절차를 거친 헌법개정을 담보할 수 있도록 헌법개정에 대한 사법심사를 제도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procedural problems revealed in the history of Constitutional reform, analyz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Constitution's reform procedur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it.
The Korean Constitution has been amended nine times, largely by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to extend their regimes. Due to this history, the current Constitutional reform procedure is overly strict. Additionally, it has been 40 years since the last revision, and no constitutional reforms have been made since. However, constitutional reform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nstitution's normative power as times change.
The lessons from the history of constitutional reform and the reasons for the current Constitution's strict procedural stipulations must be considered.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cedure must be improved to enhance the Constitution's normative power while ensuring stability through the democratic process.
Accordingly, there are plans to introduce a public initiative system for drafting constitutional reforms, or to supplement the existing system to ensure sufficient public review and consensus before proposals are made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Also, plans include allowing constitutional reforms through National Assembly resolutions without a national referendum, relaxing quorum requirements for National Assembly resolutions and referendums, and dualizing the procedure based on the scale and content of reforms.
Above all, it is crucial to collect and reflect broad public opinion in practical term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hasty revisions based on numerical superiority or revisions that violate procedures must be completely blocked. Enacting a law on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cedure and institutionalizing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 reforms should be consider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