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국 헌법상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의 역사적 기원 =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Presidential Veto Power in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저자
박지용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1-316(36쪽)
제공처
본 연구는 미국 헌법상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의 역사적 기원을 탐구한다. 이 글은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가 입법부와 행정부 간의 권력 균형을 저해하고 ‘거부민주주의(vetocracy)’의 도구가 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미국 헌법의 제정 당시 법률안거부권 도입에 관한 역사적 연원과 제도적 발전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법률안거부권의 역할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검토함에 있어 이론적 단초를 발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방법론적으로는 주로 역사적 문헌 분석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논의의 전제로서 미국 헌법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법률안거부권의 개념, 유형 및 절차를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둘째, 거부권의 역사적 선례로서 영국 왕의 법률안승인권, 영국 식민지 총독의 법률안거부권, 그리고 독립 직후 미국 각 주 헌법의 관련 규정을 분석한다. 영국 군주제 및 총독의 전횡에 대한 혐오와 반감은 행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져 독립 전후 미국의 각 주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행정부를 구성했으며, 따라서 법률안거부권을 인정하지 않는 주들이 대다수였다. 셋째, 필라델피아 헌법회의에서 전개된 거부권을 둘러싼 논쟁을 상세히 검토하고, 그 배후에 있는 정치 현실 및 사상을 고찰한다. 헌법회의에서는 법률안거부권의 도입 문제, 보유 및 행사 주체의 문제, 절대적 또는 제한적 권리 여부 문제, 재의결 정족수 문제 등이 순차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이에 대하여 매디슨, 해밀턴 등 미국 헌법 제정에 큰 영향을 미친 대표자들의 입장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본다.
그러나 법률안거부권에 관한 헌법제정자들의 원래 의도와 현대적 운용 사이에는 적지 않은 괴리가 존재한다.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입법권 남용을 견제하기 위한 기능적 권력분립원리, 즉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원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그 사용이 일상화되고 정치 도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입법 과정의 교착, 입법부와 행정부의 정치적 갈등 심화 등의 현대 민주주의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presidential veto power in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Stemming from concerns that the exercise of the presidential veto is undermining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legislative and executive branches and becoming a tool of “vetocracy,”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roots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veto power at the time of the Constitution's creation. By doing so, it seeks to discover theoretical foundations for re-evaluating the role of the veto power in a modern context. Methodologically, this study primarily employs historical document analysis.
The paper is structured in three main parts. First, it analyzes historical precedents of the veto power, including the British royal assent, the veto power of colonial governors, and relevant provisions in state constitutions immediately following American independence. The aversion to the tyranny of the British monarchy and colonial governors led to distrust of the executive branch, resulting in relatively weak executives in most post-independence American states, with many not recognizing the veto power.
Second, it closely examines the debates surrounding the veto power at the Philadelphia Constitutional Convention, exploring the political realities and ideologies behind these discussions. The Convention sequentially addressed issu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veto power, its possession and exercise, whether it should be absolute or limited, and the required majority for override. This section focuses on the positions of influential representatives like Madison and Hamilton.
Third, it highlight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original intentions of the Constitution's framers and the modern application of the veto power. While the presidential veto was introduced to embody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and prevent abuse of legislative power, its use has become routinized and politicized, contrary to the framers' intentions. This divergence has led to various problems in modern American democracy, including legislative gridlock and intensified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executive and legislative branches.
By provid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veto power, this study offers important insights for reconsidering its role in modern American politic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ademic discourse and policy discussions on improving the veto system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democracy, particularly in finding balance between executive and legislative powers, policy-making efficiency, and democratic represent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