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기업 조직문화의 실증분석 : 집단성-격자성의 문화이론을 중심으로 = Culture Theory, Group, Grid, Organizational Culture, Public Enterpri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50.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6-148(33쪽)
제공처
소장기관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문화적 편향’과 ‘사회적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문화이론’의 틀에 따라 ‘집단성’과 ‘격자성’을 기준으로 문화를 유형화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국 공기업의 조직문화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공기업은 공공성과 기업성의 복합적인 임무를 수행하므로, 정부지분율과 설립목적 및 임무의 성격을 기준으로 정부기업, 정부투자기관(진흥형, 개발형, 중간형) 및 정부출자기관으로 나누어 각 유형별로 1개씩 5개 공기업을 선정하고, 이들 기관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그 결과를 요인분석 및 분산분석기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같은 공기업 내에도 다양한 하위문화가 존재하며, 구성원들이 처한 사회적 맥락에 따라 문화적 편향이 변화할 개연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조직문화를 정태적인 시각에서 접근하는 경향에 대한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설정한 ‘정부지분율’과 ‘설립목적 및 임무의 성격’이라는 기준에 따라 조직문화의 4가지 유형이 일정한 패턴을 보일 것이라는 기대는 충족하지 못했으나, 공기업별로 문화적 편향이 상당히 차이가 나며, 경영기조가 성과와 고객만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함에 따라 점차 저격자성-저집단성의 개인주의 문화를 지향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 to confirm the relevance of Doll and Torkzadeh's measurement instrument of user satisfaction, ii) to examine user satisfaction of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system, and iii)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executed the survey of 300 officials from 15 departments in Air-Force H.Q. in Semptember, 2001.
For dependent variables, the survey included Doll and Torkzadeh's 12 items measuring user satisfaction of Air-Force Information Systems.
For independent variables, the survey used 5 items indicating CEO support, 5 items representing IT support, and 10 items explaining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For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factor analyses and LISREL.
The result show that officials had higher user satisfaction with the Air-Force Information System and CEO support was much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officials' user satisfaction than IT support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analyz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five Korean public enterprises based on the criteria of 'group and gri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the so-called 'culture theory' which considers an organizational culture as being determined by 'cultural bias ' and 'social relations, ' and derive some implications toward ongoing reform efforts in Korea's public sector.
As public enterprises carry out dual missions of enhancing public accountability and pursuing profitability simultaneously, we categorize them into five groups by the character of their missions and the ratio of government ownership.
We select one enterprise for each group and conduct a survey on 60 employees for each enterpris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through a factor analysis and an ANOVA.
Key findings are as follows: (i) Diverse sub-cultures exist even within an identical public enterprise; (ii) A seemingly concrete cultural bias may be affected in response to changing circumstances; (iii) A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of public enterprises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ir missions and the ratio of government ownership is not proven. Nevertheless, cultural biases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recent drive of performance-oriented and customer-friendly restructuring is likely to transform the existing hierarchical and bureaucratic culture into an individualistic one with a low-group and low-grid property.
The findings suggest a modification to the current uni-dimensional approach to study organizational cultur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has been subjected to virtually uninterrupted wave of reforms under the legacy of New Public Management.
It has been the key area of governmental reforms during the past two decades. Many efforts were made to initiate structural changes also in Korea.
However. since the feature of traditional class system prevails i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utmost cfficiency.
This paper examines major issues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in Korea, particularly form the viewpoint of CDRCareer Development Progra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 the notion of CDP is introduced to the field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search.
Second, the current problems of personnel administration in Korea are analysed from the views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Third, policy alternatives are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job competency of public officials in Korea.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is research adopts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Brain Storming approach in part.
Seven policy alternative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systematic study as to how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of North Korea could be transformed into a democratic system.
Such a transformation implies the fundamental reconstruction of a nation, accompanied by drastic changes in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In the case of the former East Germany, the nations statehood itself changed as a result of German unification.
Regardless of the method, if the product of Korean unification were a democratic, constitutional, free-market economy and a welfare society, North Korea would inevitably undergo a transformation of its state system.
In particular, the transformation of huma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