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서울지역 천도교 여성단체의 조직과 활동 = The Members and Activities of Chondogyo Women Organizations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저자
조규태 (한성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鄕土서울(The Hyangto Seoul: Journal of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54(3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일제강점기에 서울지역에는 천도교 여성단체의 총괄 본부와 지부가 있었다. 천도교의 여성단체로는 천도교가 신ㆍ구파로 분립하기 전인 1924년에 설립된 내수단, 1927년 천도교 구파의 여성들이 별도로 조직한 천도교여성동맹, 1931년 천도교의 신파와 구파가 합동하여 조직한 천도교내성단 등이 있었다. 그러니까 천도교내수단ㆍ천도교여성동맹ㆍ천도교내성단 등의 본부와 그 서울지역 지부인 경성부ㆍ용산부가 서울에 위치하고 있었다.
1924년 朱鈺卿․孫廣嬅․金友卿 등 천도교 최고 간부의 부인들은 천도교내수단을 조직하였다. 내수단의 가입연령은 처음 15세 이상이었다가 곧 17세 이상으로 변경되었고, 1926년 천도교여자청년회가 조직된 이후 21세 이상으로 제한되었다.
한편 천도교가 淵源, 민족운동의 방략 등의 차이로 신ㆍ구파로 분화되자, 구파 간부의 부인인 한봉소ㆍ박정자, 사회주의계 여성인 김수월ㆍ박호진 등은 서울에서 1927년 천도교여성동맹을 조직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17세 이상 구파의 여성은 대체로 천도교여성동맹 서울지부에 속하여 활동하였다.
천도교 신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내수단과 구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여성동맹은 1931년 3월 16일 합하여 天道敎內誠團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천도교내성단은 천도교 신파와 구파의 재분열에 따라 1932년 4월 각각 신파와 구파의 천도교내성단으로 분열되었다. 그러다가 1940년 합하여 天道敎內修會로 재편되었다.
천도교의 여성단체인 천도교내수단, 천도교여자청년회, 천도교여성동맹, 천도교내성단의 본부 임원과 서울 지부의 여성들은 강습과 자학, 청강, 토론 등을 통하여 교리와 일반상식을 함양하고,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여성의 지식과 여권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여성을 노동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염색의 입기’, ‘머리 쪽 짓기’, ‘옷의 고름 폐지와 단추 달기’, ‘단발’ 등의 생활개선운동을 전개하였다. 더 나아가, 신파 천도교내성단 본부의 임원들은 1930년대 천도교청년당과 천도교 중앙종리원 내에서 여권을 신장하기 위한 운동을 벌였다. 그리하여 천도교내성단의 본부 임원인 李鶴得과 申南洪은 천도교청우당의 여성부위원, 朱鈺卿은 중앙종리원의 敬道觀正이 되어, 천도교 여성의 권익을 신장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천도교 신파의 여성단체가 문화운동에 주력하였다면, 천도교 구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여성동맹 본부의 임원들은 민족운동단체와 사회운동단체에 참여하여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천도교여성동맹은 1928년 4월 대회에서 근우회 지지를 천명하였고, 본부의 임원인 박호진․김숙․김수월은 근우회의 본회와 근우회 경성지회와 경동지회에서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박호진은 조선공산당, 중앙청년동맹, 조선청년총동맹, ML파의 공산당 재조직사건 등에 간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김숙과 김수월은 각기 신흥청년동맹과 중앙여자청년동맹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The main head and branches of Chondogyo women organizations were located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mong the Chondogyo women organizations there were Chondogyo Naesoodan(天道敎內修團), Chondogyo Women Union(天道敎女性同盟), Chondogyo Naeseongdan(天道敎內成團), Chondogyo Naesoohoe(天道敎內修會). Therefore the each main head and Seoul Branch and Yongsan Branch of them were in existence in Seoul.
Chondogyo Naesoodan was established in 1924 by Joo Ok Kyeong, Son Gwang Hwa, Kim Woo Kyung, and etc. Chondogyo Women Union was established in 1927 by Han Bong So, Park Jeong Ja, Kim Soo Weol, Park Ho Jin, and etc who were members of the old group departed from the Chondogyo in 1926. Chondogyo Naeseongdan was establised as the result of unification of Chondogyo Naesoodan and Chondogyo Women Union in 1931.
To enter these organizations, women were demanded to be a believer of Chondogyo. And they had to be over 17 years old generally. By way of exception, women to wish to enter Chondogyo Naesoodan had to be more than 21 years old from 1926 to 1930. Women less than 20 years were demanded to enter Chondogyo Women Young Association(天道敎女子靑年會) in the period.
Each Member of Chondogyo Naesoodan, Chondogyo Women Union, Chondogyo Naeseongdan, Chondogyo Naesoohoe studied doctrines of Chondogyo at an institute giving short courses or by mail test. And they propagated their religion. Also they did many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for example by cutting hair, dyeing clothes, attaching buttons, and etc. They made an effort to acquire women´s rights in their church and gained them.
Members of Chondogyo Women Union did an independent movement. They made an effort to get comrades in Geunwoohoe(槿友會), the Joseon Communist Party, and other social group.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2-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 KCI등재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 KCI등재 |
2015-10-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3 | 1.024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