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명․청시기 통속문학과 출판문화 연구 -『서유기』 소설 삽화본을 중심으로- = Literatures Illustrations of Journey to the West of the Ming and Qing Periods(1368~1911)
저자
박민정 (문화재청)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9-323(25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he illustrations of Journey to the West of the Ming and Qing periods(1368-1911).
Considering the illustrations of popular novels to be one of wood block prints, I will examines illustrations of Journey to the West.
Also,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popular novels with illustrations introduced in the late Chosen period might have influenced the compositions and figural expression of inspired Kim Deok-seong(1729-1797)’s Copies of Chinese Novel Illustrations.
Popular novels accompanying pictorial illustrations were increasingly pro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printing and publishing industry and become one of the distinctive genres og painting. In such a circumstance, professional engravers who specialized in illustrating the episodes of popular novels made their appearance and attempted to enrich pictorial vocabularies by borrowing those of works of famous painters.
I founds Illustrations of Journey came into Joseon Dynasty in Korea and Kim Deok-seong(1729-1797)’s copes illustrations of Journey 40 scence of Copies of Chinese Novel Illustrations.
In the text, It was proved by comparison Composition, character expression, and background of Copies of Chinese Novel Illustrations and Illustrations in Li zhuowu’s Critic of Journey to the West.
본 논문은 명․청시기(1368~1911)의 통속문학과 출판문화를 당시 유행한 『서유기』 소설의 삽화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즉, 명․청시기 통속문학 창작 및 출판업의 성행과 대중문화 일면을 볼 수 있는 공연예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본 후 『서유기』 소설 삽화본에 반영된 공연문화와 판화의 대중성에 대하여 짚어보았으며, 나아가 명․청시기 문학책의 삽화가 조선시대 『중국소설회모본』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였다.
명․청시기는 출판업과 인쇄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삽화본 통속문학이 출판되는데 이를 공연예술 문화의 성행과, 희곡과 소설류의 창작활동이 성행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하였다. 이 시기 사회는 시장경제의 발달에 따른 도시의 형성 및 인구의 증가가 가속화 되고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로 인하여 일반인들의 여가활동의 일환으로서 공연예술이 빈번하게 이루어졌고, 다양한 공연의 소재인 희곡과 소설류의 창작은 독서시장이 발달하는 계기로 작용하였으며, 이에 독서층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각 서점에서는 경쟁적으로 서적을 생산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 속에 삽화라는 예술적 활동이 서적의 판매 부수와도 직결되었으리라 본다.
또한 다양한 지역에서 출판된 『서유기』 삽화의 구성을 공연의 무대인 희대 건축의 변화양상과 함께 살펴보았다. 100회본으로 구성된 『서유기』는 대략 10여 회에 걸쳐 출판되었다. 명대 건안, 금릉, 무림, 소주 등 각지에서 두루 출판되었고, 청대 석인본으로 재탄생되면서 이야기 구성은 물론 사실적이고 세련된 이미지 표현의 절정을 이루게 된다.
끝으로 『서유기』 소설의 삽화본 서적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조선후기 궁중에서 판각한 『중국소설회모본』 제작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중국소설회모본』은 당시 궁중 화가인 김덕성(1729~1797)을 중심으로 제작이 이루어졌으며 천계연간(1621~1627) 소주 협경지간본 『이탁오선생비평서유기』 삽도의 40여 회의 구도, 인물표현, 배경 등과 상관성을 강하여 드러내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4 | 0.796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