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왕필의 무용론 - 체용론과 관련해서 - = Wang Bi's Theory of Uselessnes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3-346(2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whether the so-called 'Wang Bi's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that has been discussed much in academia and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and can, indeed, be established. Many scholars argue that Wang Bi established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initially in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China. But, some scholars deny such a view. They argue that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was established by Geyi during the Jin Dynasty when Buddhism became established in China. The arguer agrees with the latter position. In this thesis, the central content criticizes the view that Wang Bi is the pioneer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is presented and that proves the argument that Wang Bi is a person professing the theory of the uselessness. The core lines that the scholars have been referencing in order to prove Wang Bi's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are 'imuwibon', 'imuwiyong', and 'imuwiche'. The two initial terms are direct quotes by Wang Bi, while the latter phrase is a term devised by the researchers of Wang Bi. Scholars explain by bundling together the theory of uselessness, the theory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of Wang Bi. However, the 'body‘ Wang Bi talks about means not the main body but means the form. The meanings of the use, usefulness, and utility of the 'use' are stronger than the meanings of the action and the phenomenon of the 'use'. Hence, there are the differences with the meanings of the body and the use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which is a theory (category) of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In Wang Bi's philosophy, the nothingness is the main body and, at the same time, is the usefulness. As in Wang Bi's philosophy,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does not become established, so it is a mistake to explain his theory of uselessness, theory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by bundling them together. An exception being that Wang Bi's philosophy can be interpreted in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which was established later on. Wang Bi is not a person espousing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but a person maintaining the theory of uselessness.
The argument by Chinese scholars arguing that Wang Bi is the pioneer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is related to Chinese nationalism. They do not want to recognize that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ories (categories) of Chinese philosophy, was established by receiving the influences of a foreign ideology. In order to argue that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is an exclusive ideology of China, Wang Bi, who mentioned ‘the body’ and ‘the use’ often, is put forth as the pioneer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However, such an argument is farfetched without any feasibility. Wang Bi merely spoke about the body and the use. He did not, in fact, have any interest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이 논문의 내용은 학계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소위 ‘왕필의 체용론’이 과연 성립될 수 있는가를 따져본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왕필이 중국철학사에서 최초로 체용론을 수립했다고 주장하는데, 일부의 학자들은 이런 견해를 부정한다. 이들은 체용론이 불교가 중국에 정착하던 晉나라 때 격의불교에서 성립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논자는 후자의 입장에 동의한다. 이 논문은 왕필이 체용론의 선구자라는 견해를 비판하고, 無用論을 주장한 학자라는 것을 입증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학자들이 왕필의 체용론을 논증하기 위해서 거론하는 핵심 구절은 以無爲本, 以無爲用, 以無爲體이다. 앞의 두 구절은 왕필이 직접 한 말이고, 뒤의 한 구절은 왕필 연구자들이 지어낸 말이다. 학자들은 왕필의 유무론 및 본말론과 체용론을 함께 묶어서 설명을 한다. 그러나 왕필이 말하는 體는 본체가 아니라 형체라는 의미이고, 用은 작용이나 현상이라는 의미보다는 쓰임(유용·이용‧효용)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그러므로 불교나 신유학 이론인 체용론에서의 체‧용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 왕필철학에서는 無가 본체이며 동시에 효용성을 갖고 있다. 왕필의 철학에서는 체용론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그의 유무론 및 본말론과 체용론을 함께 묶어서 설명하는 것은 잘못이다. 다만 뒷날 성립된 체용론의 관점으로 왕필의 철학을 (재)해석할 수는 있다. 왕필은 체용론자가 아니라 무용론자이다.
중국의 학자들이 왕필을 체용론의 선구자라고 주장하는 것은 중화민족주의와 관련이 있다. 그들은 중국철학에서 중요한 이론의 하나인 체용론이 외래사상인 불교의 영향을 받아서 성립됐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체용론이 중국의 고유사상임을 주장하기 위해서 체와 용을 많이 언급한 왕필을 체용론의 선구자로 몰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타당성이 없는 억지 논리이다. 왕필은 단순히 체와 용을 말했을 뿐, 정작 체용론에는 관심이 없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3 | 0.736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